조중환(병자 삼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7 04:11
본문
Download : 조중환(병자 삼인).hwp
은밀히 사랑을 속삭였고 장래까지 약속했던 귀찬이가 서울로 가게 된다 빚에 팔려 가는 귀찬이의 서울행은 고향으로 다시 돌아올 수 없는 길이다. 자기의 생에 의미를 부여해 줄 수 있는 대상이 사라진다는 것은 , 삶 자체가 무의미하게 되는 것이고, 따라서 삶을 포기할 수 도 있는 것이 다. 때문에 “그만 우물에 빠져 죽으려고” 한다.
Download : 조중환(병자 삼인).hwp( 24 )
조중환「병자삼인」
설명
3. 국서네 가족들(국서·처·말똥이·개똥이) 이 하는 행위와 대사는 작 품에 설정된 현실과 여러 측면에서 유리된 면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는 이 작품의 리얼리즘을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가족들의 이러한 요소를 각각 찾아서 이유를 說明(설명) 해보자.
-앞서 언급한 첫번째 판본에서 특히 아쉬운 점이 있다면, 그것은 희비 극적 수법의 원활한 성취가 아직은 부족한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도 독자는 이 대목에서 사태의 긴박함을 그다지 실감하거나 곤 감하지 못한다. 이는 독자가 공감하기 싫어서가 아니라, 작가가 의도적 으로 공감하지 못하도록 만들고 있기 때문이다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에 쉽게 뛰어들지 못하게 하고 말똥이의 처지에 동정을 보내지 못하 도록 하고 있다 비록 국서네 가족은 아니지만 희곡에 나오는 다른 인 물들과의 이런, 상황에…(省略)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인문사회,레포트
조중환(병자 삼인)
조중환「병자삼인」 , 조중환(병자 삼인)인문사회레포트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다. 매우 긴박한 상황이다. 말똥이에게 있어서 귀찬이는 생의 전부이다. <소> 에서 가장 비중을 두고 다룬 인물은 말똥이인데도 그가 귀찬이로 인해 상사 병이 나서 부모에게 투政府리는 장면, 소를 담보로 귀찬이와 결혼이 가 능한 것을 알게 된 후의 희희낙락하는 장면, 소에게 절을 하는 장면, 노래를 부르는 장면 등등의 처리에 작위성과 과장성이 노출되고 있음 이 구체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억지스런 웃음이 남발되고 있는 점이 이 작품의 리얼리티를 취약하게 만들고 있다 또한 이러한 점도 앞뒤 로 맞지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