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 seoulsportal8 | seoulsportal.or.kr report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 seoulsportal8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8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16:28

본문




Download : 훈 민 정 음.hwp




A+ 받은 자료입니다.

훈 민 정 음-7824_01.gif 훈 민 정 음-7824_02_.gif 훈 민 정 음-7824_03_.gif 훈 민 정 음-7824_04_.gif 훈 민 정 음-7824_05_.gif
1.1 자음 (초성)
2. 초성(初聲)와 종성(終聲)
설명
3. 성음(成音)
2. 1 초성
문법, 훈민정음, 해례, 중세국어, 국어사


다.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A+ 받은 자료(資料)입니다. 문자의 이름(諺文, 정인지 서)으로서의 훈민정음과, 훈민정음의 해설로 쓰인 해례본을 지칭하는 책 이름으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正音二十八字 各象其形而制之.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순서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1. 제자해 (制字解) -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1. 2 모음 (중성)
牙音 象舌根閉喉之形⇒아음(어금닛소리) 은 혀뿌리가 목구멍을 막는 모양을 본뜨고,
자주(自主)애민(愛民)실용(實用) 정신에 바탕을 두고 창제된 훈민정음(訓民正音)은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1.1 자음 (초성)

舌音ㄴ 象舌附上之形 ⇒설음(혓소리) 은 혀(끝)가 윗 잇몸에 붙는 모양을 본뜨고,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훈민정음(訓民正音) - 해례(解例)를 중심으로 - 연구 리포트입니다.



제자해에 명시되어 있듯, 정음(훈민정음)의 스물 여덟 글자는 각각 그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다.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 참고 문헌
2. 2 종성
(1) 初聲凡十七字 ⇒ 초성은 모두 17자이다. 훈민정음 제자원리의 바탕은 상형(象形)이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받아가시는 모든분들이 좋은 점수받기 바랍니다.
1. 제자해 (制字解) - 제자원리를 중심으로

Download : 훈 민 정 음.hwp( 31 )



세종 25년(1443) 훈민정음이 창제된 이후 세종 28년(1446) 반포된 훈민정음 해례본은 본문(本文)인 ‘예의(例義)’, ‘해례(解例)’, ‘정인지서(鄭麟趾序)’로 구성되어 있다아 ‘예의’는 ‘어지(御旨), 자모의 음가(音價)와 운용(종성법, 연서법, 병서법, 부서법), 성음법(聲音法)과 사성점(四聲點)’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아 ‘해례’는 ‘五解一例’라 하여 예의(본문)에 간단하게 언급된 내용을 자세히 설명(explanation)한 것으로, ‘제자해,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로 짜여져 있다아 ‘정인지서’는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 의의, 경위 등을 설명(explanation)하고 있다아 여기에서는 ‘해례’의 내용을 기본으로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와 초중종성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전체 36,684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