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2학기 잡초방제학 출석수업대체시험 project물(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5:10
본문
Download : 20222출석대체_농학4_잡초방제학_공통.zip
제초제를 연용하면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을 갖게 된다된다.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data) 한글파일 **
서지사항
벤설퓨론메틸(Bensulfuron-Methyl)이 일본에서 처음 사용된 설포닐유레아(Sulfonylurea, SU)계 제초제로 1993년에 SU계 제초제 저항성 잡초인 물옥잠 물옥잠과 물달개비는 현재 사용중인 대부분의 제초제로 쉽게 방제할 수 있는 잡초이나 최근 다년간 담수직파를 재배한 충남 일원 간척지 논에서 물옥잠이 매우 우점하여 이들 종자들을 채취하여 저항성 진단을 한 결과 설포닐우레아계 제초제에 대한 저항성 잡초로 확인되었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을 저항성 발현특성과 국내의 잡초관리 방법 등과 연관 지어 설명하고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시오. - 목 차 - I. 서 론 II. 본 론 1.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 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관리를 위한 방법 III. 결 론 참고문헌 ** 함께 제공되는 참고자료 한글파일 ** 1. 제초제 저항 잡초의 발달과정1.hwp 2. 제초제 저항 잡초의 발달과정2.hwp 3. 제초제 저항성 잡초 관리방법.hwp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5. 결론 작성시 참조.hwp
2. 제초제 저항 잡초의 발달과정2.hwp
II. 본 론
다.
2.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관리를 위한 방법
제초제 저항성 논 잡초는 지금까지 방제가 잘되었던 잡초가 어느 순간부터 방제가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존에 사용하던 제초제를 10배 이상 처리해도 방제가 되지 않는 잡초들이다.
잡초방제학,방통대잡초방제학,방송대잡초방제학,잡초방제학과제물,잡초방제학과제,잡초방제학출석수업대체
Download : 20222출석대체_농학4_잡초방제학_공통.zip( 88 )
4. 서론 작성시 참조.hwp
2022년 2학기 잡초방제학 출석수업대체시험 project물(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
III. 결 론
5. 結論(결론) 작성시 참조.hwp
이 보고서는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을 저항성 발현속성 과 국내의 잡초관리 방법 등과 연관 지어 설명(explanation)하고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1991년에는 일년생잡초 보다는 올방개, 올미, 벗풀 등과 같은 다년생잡초가 많았다. 잡초에 影響을 미치는 요인은 광, 온도, 습도 등 기상요인과 토양의 이화학적 속성 에 따른 environment 등 그 요인 다양하다. China은 세계 최대 제초제 판매시장으로 부각 되어 등록 제초제 중 논 제초제가 40%를 점유하고 있어 2002년부터 물옥잠과 벗풀에서 SU계 제초제 저항성이 보고되기 스타트했다.
순서
3. 제초제 저항성 잡초 관리방법.hwp
2) 1990년대
1.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
논에 제초제를 사용해 잡초를 방제하기 스타트한 것은 2차 세계대전 종전 후의 시기로 일본에서 화학제초제로서 사용되기 스타트한 2,4-D(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디클로로페녹시아세트산)를 논 조건에 담수 처리한 것을 시도한 것이 由來이고 국내에서는 70년대에 티오벤카브(Thiobencarb), 부타클로르(Butachlor)가 본격적으로 사용됐다. 잡초는 땅속 등 environment에 適應하여 오래 생존할 수 있으며, 생산량도 많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1) 초기
이 처음 보고됐고, 이후 물달개비, 올챙이고랭이, 외풀류 등이 발생됐다.
I. 서 론
- 목 차 -
과거 50년간 발생한 논잡초를 살펴보면 1971년에는 마디꽃, 쇠털골, 물달개비 등 일년생잡초가 많이 발생된 반면에 1981년에는 피의 발생이 줄어들고, 물달개비와 올미, 벗풀 등 광엽잡초가 우점했다. 잡초란 가꾸지 않아도 저절로 나서 자라는 여러 가지 풀이라고 하며, 어떤 식물체의 한 종이 집단적으로 인간의 활동, 건강 또는 기쁨 등에 부정적으로 작용하거나 방해작용을 하게 될 때 그 식물체를 잡초로 간주한다. 저항성 잡초는 전 세계적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발생이 스타트되어 현재까지 255종(쌍자엽 148종, 단자엽 107종)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농경지에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을 저항성 발현특성(特性)과 국내의 잡초관리 방법 등과 연관 지어 설명(說明)하고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관리를 위한 방법을 제안하시오.
- 중략 -
I. 서 론
방송통신 > 출석수업대체시험
1. 제초제 저항성 잡초의 발달과정
설명
II. 본 론
1. 제초제 저항 잡초의 발달과정1.hwp
농작물 재배시기에 기온과 습도가 높아 농작물에 피해를 주는 병해충과 잡초의 발생이 많은 속성 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