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實驗 - 경도 및 충격實驗
페이지 정보
작성일 21-10-22 13:48본문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 경도 및 충격실험.hwp
그러나 사용되는 시편은 외팔보(cantilever) 상태에서 시험된다된다.
기계공학實驗 - 경도 및 충격實驗
⑦ E2 = Wh2 여기서 h2는 기준점에서 마지막에 올라온 해머까지의 높이이다. 해머에는 돌기가 있어 이것이 수직으로 고정된 시편에 타격을 가한다. 아이조드 시험기는 샤르피 충격시험기와 유사한 원리로 작용한다. 따라서 β = 31°+9° = 40° 이다.
기계공학실험,경도,충격실험
따라서 E2 = WR(1-cosβ) 이다.
Download : 기계공학실험 - 경도 및 충격실험.hwp( 17 )





설명
고정빔 충격법은 펜듈럼(pendulum)측정법이라고도 하며 아이조드(Izod)충격 시험 및 샤르피(Charpy) 충격시험이 이에 속한다.
따라서 E1 = WR(1-cosα) 이다.
⑧ V노치 시편을 파단하는데 소모된 에너지는, 충격 시 발생하는 에너지 손실(열에너지, 소리 에너지)이 무시할 만 하므로, 해머의 처음 위치에너지와 나중 위치에너지의 차 이로 생각할 수 있다아
h1 = R +Rcos(π-α) = R - Rcosα = R(1-cosα) 이다. 아이조드 시험기는 샤르피 충격시험기와 유사한 원리로 작용한다.
① 시험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초기 각도 50°에서 해머를 낙하시켰는데, 해머가 올라간 각도는 41°이었다. (그림3 참조)
순서
고정빔 충격법은 펜듈럼(pendulum)측정법이라고도 하며 아이조드(Izod)충격 시험 및 샤르피(Charpy) 충격시험이 이에 속한다.
⑥ E1 = Wh1 여기서 h1은 기준점에서 처음에 올라온 해머까지의 높이이다.
측정(measurement)된 β = 40° 이므로 E2 = 252.22*0.75*(1-cos40°) = 44.26 kgf ․ m
② V노치 시편을 놓고 초기 각도(α) 50°에서 해머를 낙하시킨 결과 해머의 나중 각도(β)는 31°가 측정(measurement)되었다. h2 = R - Rcosβ = R(1-cosβ) 이다. 그러나 사용되는 시편은 외팔보(cantilever) 상태에서 시험된다. 앞에 측정(measurement)한 9°를 β에 더해줘서 시험기를 보존계로 가정한다. 해머에는 돌기가 있어 이것이 수직으로 고정된 시편에 타격을 가한다.
④ 해머의 무게, W = 25.71 kg * 9.81 m/s2 = 252.22 N 이다. (그림 3)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다.
⑤ 해머의 회전축 중심에서부터 해머의 중심까지의 거리, R = 0.75 m 이다.
③ 시험기가 보존계가 아니므로 여기에 보정을 해줘야한다. 따라서 이 시험기는 에너지 보존이 되지 않고 9°의 에너지 차이가 처음과 마지막에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