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기원 및 특징, 제법, 歷史, 활용도, 과정, 효능 조사分析(분석) > seoulsportal7 | seoulsportal.or.kr report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기원 및 특징, 제법, 歷史, 활용도, 과정, 효능 조사分析(분석) > seoulsporta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7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기원 및 특징, 제법, 歷史, 활용도, 과정, 효능 조사分析(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8 04:37

본문




Download :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hwp




마지막으 로 즙장은 수분이 많고 보통메주나 또는 속성메주로 담그는 장이다.

Download :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hwp( 22 )



순서
명종조에 이르러 발간된 구황찰요의 내용으로 보아서 세종대왕 전후에 이미 만드는 기술이 다양하게 발달된 듯하며 콩 위주가 아닌 콩과 진맥을 원료로 한 메주 따위로 만들어진 된장류들이 등장하고 취청장법버의 기술발달로 된장, 간장류가 따로따로 만들어 졌다고 할 수 있따 그후 장 만드는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효종조에 이르러서는 장만드는 것이 연례행사였고 즙장, 포장 등의 새로운 장 만드는 법이 보편화 되었으며, 조선중엽에 들어서서 산림경제 등에는 45종에 달하는 장류제조법이 분류 요약되어 있는데 현재 농촌이나 도시의 가정에서 행하는재래식 메주 제조방법은 이것에서 origin된 것으로 볼 수 있따
1.장류의 origin




2.장류의종류
3.장류의 제법
②된장





1.장류의 기원

설명
다.1.장류의 유래 2.장류의종류 3.장류의 제법


2.장류의종류




우리나라 장류의 기원은 확실치 않으나 역사(歷史)적 기록으로는 통일 신라시대 초기인 약1,200년전에 유사한 장류가 있었음을 알 수 있따 대두류의 등장을 참조한다면 장류의 기원도 1,200년전보다 휠씬 앞선 삼국시대인 약 2,000년 전이 될 것으로 짐작된다 그 후 조선초기에 이르기까지 장류제조법에 대한 기록이 없어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추측컨데 간장, 된장이 따로 따로 만들어졌고 간장의 경우는 진감장위주의 질적한 간장, 된장이 혼합된 형태의 장류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 제법, 역사, 활용도, 장,고추장,장류,된장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4023_01.jpg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4023_02_.jpg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4023_03_.jpg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4023_04_.jpg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유래 및 특징,-4023_05_.jpg



①고추장
우리나라 장의 종류와 기원 및 특징, 제법, 歷史, 활용도, 과정, 효능 조사分析(분석)
된장에는 토장, 막된장, 막장, 즙장이 있는데 토장은 메주로 간장을 뽑지 않고 담근 된장 이고 막된장은 간장을 뽑고 난 된장이며 막장은 메주로 속성식으로 담근것 이다.
메주가루에 고춧가루와 쌀밥이나 찹쌀밥을 혼 합하여 숙성시키는것이다.
전체 36,53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