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歷史) 유적 > seoulsportal7 | seoulsportal.or.kr report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歷史) 유적 > seoulsportal7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7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歷史) 유적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29 16:31

본문




Download :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 유적.hwp




,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 유적인문사회레포트 , 인문 사회 목포 근대사 남긴 역사 유적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歷史) 유적


-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 같은 해 …(To be continued )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歷史) 유적
레포트/인문사회

다.
위와 같은 취지에서 일제 식민지 시대에 그들이 남긴 歷史(역사)유적들 중 일부를 observe함으로써 일제가 조선인에게 어떤 피해와 이익을 주었는가를 논하고자 한다.
인문,사회,목포,근대사,남긴,역사,유적,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 유적.hwp( 34 )


설명


순서

[인문][사회] 목포 근대사가 남긴 역사 유적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목포만이 보여 줄 수 있는 특색 있는 歷史(역사)관광 유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하는 고민을 해본다면, 목포의 옛 日本(일본)영사관을 ‘한국개항사 資料전시관’ 으로, 동척건물을 ‘식민지경제침탈관’ 으로 만들어 이 지역을 새로운 文化 유적의 거리로 탈바꿈시켜 보았으면 하는 것이 나의 바램이다.

(1) 동본원사 목포별원(東本願寺 木浦別院)
현 목포중앙교회가 사용하고 있는 건물은 목포의 첫 불교사요인 동본원사 목포별원이 있던 곳이다.
철거 직전까지 갔던 동양척식회사 목포지점 건물은 식민지 시기 日本(일본)인들의 경제침탈을 상징하는 건물로서 조선인들의 원한이 서린 곳이다. 정식명칭은 진종(眞宗) 대곡파(大谷派) 동본원사였다. 동본원사 별원은 1898년 4월에 다 허물어진 바라크 빈집에 세운 목포의 첫 불교사원이다.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1.gif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2.gif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3.gif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4.gif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5.gif [인문][사회]%20목포%20근대사가%20남긴%20역사%20유적_hwp_06.gif
목포 근대사가 남긴 歷史(역사) 유적

오늘날 목포지역에는 위에서 살펴본 개항 이후 일제시기까지의 歷史(역사)가 남긴 유적들이 곳곳에 남아 있따 최근 이들 유적들을 ‘일제 잔재’ 라 하여 철거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부에서 일고 있따 그러나 이 문제는 그렇게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닌것이다 . 歷史(역사)의 흔적은 인위적으로 지우려 한다고 해서 지워지는 것이 아닌것이다 . 또 일제시기의 건물을 철거하자는 주장에는 과거 식민지 시기를 부끄러운 歷史(역사)로 간주하는 심리가 그 바탕에 깔려 있따 그러나 우리는 이미 해방된 지 50년을 넘긴 시점에 살고 있고, 또 국제사회속에서 한국의 위치도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다. 따라서 이제는 오히려 식민지시기의 歷史(역사)적 유적들을 보존하여 앞으로 다시는 이러한 불행한 시기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는 歷史(역사)의 교훈의 장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한국 근대사에서 개항장의 모습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목포의 구 日本(일본)인 거류지는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당시의 흔적이 가장 잘 남아 있는 곳이다.
전체 36,532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