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theory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2 16:09본문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hwp
하지만 여기에서 드러나는 문제는 이러한 규정이 영어에서는 들어맞지만 한국어의 VP에는 맞지 않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통사론첫번째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theory
,인문사회,레포트
레포트/인문사회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통사론첫번째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인문사회레포트 ,
동사구와 명사구의 내부적인 구조에 대한 논의와 부정문의 구조, 선문말(선어말) 형태와 문말 형태의 통사적 위치(문법관계), 복합문(보문과 접속절)에 관한 논의가 order (차례) 로 전개되어 있따 이것은 전통 문법적 문장 구조에서 초기 변형생성 문법의 문장구조와 엑스-바 이론(理論)을 끌어 당겨 새롭게 한국어의 문장을 논의하고 있따 문말 형태를 통사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부분과 보문자를 어말어미로 보는 견해는 새로운 부분이었다.
V`(중성지이다) → NP(중성지) + 이-
의 3가지 형태로 나타낼 수 있따 따라서 한국어의 기본 문형은 위와 같은 公式 을 따르고 있는 데 문제가 되는 것은
4. 태선이는 길에서 만원을 주웠다.
V`(푸르다) → ADJP(형용사구)
3. 그 종이는 중성지이다. 한국어에서는 NP가 VP의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일것이다 예를 들면 체언+계사 또는 형용사+계사의 형태가 그것이다.
에서처럼 V`의 ‘길에서 만원을 주었다’를 N…(투비컨티뉴드 )
설명
순서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theory
Download : 한국어의 구절 구조와 엑스-바 이론.hwp( 12 )
다.
본론으로 들어가기 전에 논문에서는 동사구와 서술어구를 규정하고 있따 이는 이전의 전통 문법적 구절 구조 규칙이 규정하고 있는 S→ NP(주어구) + VP(서술어구)를 부정하고 변형문법이 규정하고 있는 S → NP(명사구) + VP(동사구)를 택하고 있따 그 이유로는 주어나 목적어는 NP의 문장 구조 속의 위치에 따라 규정되어지기 때문에 NP는 명사구가 되고 VP는 당연히 동사구가 된다는 것이다.
V`(분다) → (NP) + V
2. 하늘이 푸르다. 따라서 한국어의 VP는 동사구, 형용사구, 계사구가 이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따
이러한 한국어 VP의 규정을 전제로 하고 VP의 내부구조를 논의하고 있따 여기서는 VP의 내부구조를 VP → 명시어 + V` 다시 V` → 보충어 + V로 규정하고 있따 명시어는 논외로 하고 보충어의 형태는 기본적으로
1. 바람이 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