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및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2-01 06:54
본문
Download : 과학 및 지구과학과 교육과정.hwp
ㅁㅁㅁ , 과학 및 지구과학과 교육과정사범교육레포트 ,
다.
Download : 과학 및 지구과학과 교육과정.hwp( 50 )
지구과학 및 과학 과목의 교육 개정 과정을 정리한 리포트로 과학교육의 변천사와 각 개정시의 교육 목적에 마주향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설명
레포트/사범교육
ㅁㅁㅁ
,사범교육,레포트
◎과학과 교육과정이 변천 : 해방 후 여러 순서의 개정이 있었음
1.교수 요목기(1946~1954)
①광복 후 교육 심의회를 발족 → 교육 방침 마련
②이듬 해 ; ‘교수요목’이란 이름으로 간결한 교육과정 공포 ⇒ 초급 중학교의 과 학은 물상과 생물을, 고급 중학교의 과학은 물리, 화학, 생물을, 농업학교에서 는 과학을, 상업학교에서는 이과를 각각 이수시키도록 함
③당시 초급중학교에서 가르핀 600교시 분의 과학과 교수요목 : 현행 교육과정이 내용과 비슷한 것과 실생활과 관계가 싶은 내용 포함
2.제1차 교육과정기(1954~1963)
①이 기간에 ‘교과과정기’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
②1954년 교육과정 시간 배당 기준령 공포로부터 1963년 새로운 교육과정이 공 포될 때까지의 기간
③과학과 시간 배당 기준은 1학년이 주당 4시간, 2학년이 3시간, 3학년이 2시간
-물상과 생물을 통합하여 ‘과학’으로 통칭
④교육과정 : 미국 진보주의의 影響을 받아 생활 경험을 중시
⑤체제 : 목표(goal)와 내용을 별도로 구성하여 교육과정으로서의 체제를 처음으로 갖 추게 됨
⑥과학적인 지식과 태도 및 능력을 체득시키고 습관화하는데 목표(goal)를 둠
3.제2차 교육과정기(1963~1973)
①산업구조의 change(변화)가 빠르게 이루어진 시기
②자주성, 생산성, 유용성, 합리성, 지역성 강조
③교육과정이 계얄성과 일관성 유지, 생활경험 중심의 종합지도 강조
④교육과정 : 고등학교의 교과단위제를 채택, 교과활동, 반공·도덕 생활, 특별활동 으로 구성
⑤과학기술의 후진성을 극복하는데에 목표(goal)를 두고 과학기술교육 강조
4.제3차 교육과정기(1973~1981)
①미국 : IPS, ISCS중학 과학과정 등 새 교육과정 개발
②목표(goal) : 단편적 지식 전수 지양, 과학의 지식을 구조화하여 제공, 자연을 탐구하 는 과학적인 방법을 구사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skip)
순서
과학 및 지구과학과 교육과정






지구과학 및 과학 과목의 교육 개정 과정을 정리한 리포트로 과학교육의 변천사와 각 개정시의 교육 목적에 대해서 정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