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讀書感想文]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 읽고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5:31
본문
Download :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hwp
‘자아’는 타자와의 관계에서만 성립되는 것이다. 하지만 그렇게 생각하고 활동해서는 아무것도 할 수가 없다. 저자는 자신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마침내 타자와 진지하게 마주함으로써 진정한 자아를 찾을 수 있다고 말한다. 개인주의의 시대인 근대 이후 비대해진 자아는 사회의 해체를 초래하기도 했다.
[讀書感想文]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 읽고쓰기
3. 3장 - 제대로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7. 7장 -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4. 4장 - 청춘은 아름다운가?
Download :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hwp( 19 )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6. 6장 -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연관되는 ‘자아’는 자기 속에만 갇혀 자기만 생각하는 ‘자기중심주의’와는 다르다.
1. 1장 - 나는 누구인가?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631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A%B9%80%EC%83%81%EC%A4%91%EC%9D%98%20%EA%B3%A0%EB%AF%BC%ED%95%98%EB%8A%94%20%ED%9E%98%20%EC%9D%84-6316_01.jpg)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631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A%B9%80%EC%83%81%EC%A4%91%EC%9D%98%20%EA%B3%A0%EB%AF%BC%ED%95%98%EB%8A%94%20%ED%9E%98%20%EC%9D%84-6316_02_.jpg)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631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A%B9%80%EC%83%81%EC%A4%91%EC%9D%98%20%EA%B3%A0%EB%AF%BC%ED%95%98%EB%8A%94%20%ED%9E%98%20%EC%9D%84-6316_03_.jpg)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631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A%B9%80%EC%83%81%EC%A4%91%EC%9D%98%20%EA%B3%A0%EB%AF%BC%ED%95%98%EB%8A%94%20%ED%9E%98%20%EC%9D%84-6316_04_.jpg)
![[독후감] 김상중의 고민하는 힘 을-631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303/%5B%EB%8F%85%ED%9B%84%EA%B0%90%5D%20%EA%B9%80%EC%83%81%EC%A4%91%EC%9D%98%20%EA%B3%A0%EB%AF%BC%ED%95%98%EB%8A%94%20%ED%9E%98%20%EC%9D%84-6316_05_.jpg)
순서
1. 1장 - 나는 누구인가? 2. 2장 -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 3. 3장 - 제대로 안다는 것은 무엇일까? 4. 4장 - 청춘은 아름다운가? 5. 5장 - 믿는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을까? 6. 6장 -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 7. 7장 -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8. 8장 - 왜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9. 9장 - 늙어서 ‘최강’이 되라 10. 고민하는 힘과 자유
5. 5장 - 믿는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을까?
2. 2장 -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
독후감,김상중의 고민하는 힘,고민하는 힘
10. 고민하는 힘과 자유
현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은 혼자 살아가는 양식이 점점 퍼지면서 자기만의 생각과 마음속에서 자신을 지키고 싶고, 주장하고 싶고, 부정당하고 싶지 않아 한다. 자아에 관련되어 고민하고 있는 사람들은 확실하게 ‘자아’와 ‘자기중심주의’를 혼동해서는 아니 된다. 이 과정에서 자아에 관련되어 생각을 하게 되는데, 여기서 자아와 자주 혼동을 일으키는 말로 ‘자기중심주의’라는 것이 있따 타인의 기분에는 아랑곳하지 않고 자기 생각만을 밀어붙이는 사람을 가리킬 때 쓰는 말인데, 그런 사람과 함께 있으면 자기만 생각하는 모습에 피곤함을 느끼게 된다.
8. 8장 - 왜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우리는 언젠가는 나는 누구인가 라는 자신에 대한 물음을 갖게 된다.
9. 9장 - 늙어서 ‘최강’이 되라
설명
사람에 따라서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겉으로는 참고 견디고 진짜 자기는 감추는’방법을 선택하는 사람도 있따 그러나 그것이 완전히 어려워서 자기만의 세계에 빠지는 사람도 있따 자아라는 것은 타자와의 관계에서만 성립하기 때문에, 사람과의 관계 속에서 ‘나’는 존재할 수 있따
다. 근대 철학에서 ‘자아’는 다른 사람과의 구별이나 대립 등 ‘타자’의 존재를 바탕으로 발견되었다. 저자는 재일 한국인으로서 정체성의 혼란을 느끼다가 한국을 방문한 후 새로운 자기 인식을 갖게 된 자신의 경험과, 자아에 사로잡혀 관계에 좌절하는 소세키 소설 속 인물들을 예로 들어 설명(explanation)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