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체능계] 부산의 민속예술 /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1. 동래야류 2. 좌수영방어놀이 3.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2:39본문
Download : 부산의민속예술.hwp
비번의 수군들이 어방의 고기잡이에 참여하여 노동력, 조선술, 항해술을 제공함으 로써 어업을 효율적이고 대형...
레포트 > 예체능계열
[예체능계] 부산의 민속예술 /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1. 동래야류 2. 좌수영방어놀이 3.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1. 동래야류 2. 좌수영방어놀이 3. 동래지신밟기...
다.
예체능계 부산의 민속예술 /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1. 동래야류 2. 좌수영방어놀이 3.
Download : 부산의민속예술.hwp( 34 )
순서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1. 동래야류 2. 좌수영방어놀이 3. 동래지신밟기...
설명
부산의 민속예술 목차 . 동래야류. 좌수영방어놀이 . 동래지신밟기. 수영 농청놀이. 부산영산재. 수영야류 . 동래야류 우리나라 민속가면극의 명칭은 지방에 따라 다르게 불 려지는데, 경남은 오광대(五廣大), 중부지방은 산대( 山臺)놀이, 황해도 지방에서는 탈춤, 부산에서는 들놀 음이라고 한다. 들놀음을 한자화한 것이 야류(野遊)로서 외지사람들은 일 반적으로「야유」라 부르지만 동래와 수영에서는『야류』라 고 부르고 있다아 동래야류의 정확한 history는 알 수 없으나 증언에 의하면 약 120여년의 history를 가진 것으로 생각된다. 일제의 전통문화 탄압과 한국전쟁으로 인해 동래줄다리기와 함께 중단되었다가 1960년대에 접어들어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 서학자들과 지방 유지들의 노력으로 원형에 대한 조사와 정리(整理) 를 거쳐 재현되었고, 1967년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오늘까지 이어지고 있다아 동래들놀음의 구성은 길놀이와 군무(群舞) 등의 전편과 문둥이과장, 양반과장, 영노과장, 할미·영감과장 등 탈놀음 4과장의 후편으로 구성되어 있다아 동래들놀음은 대동놀이인 동래줄다리기와 상호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아니라, 동민을 비롯한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단결과 애향심을 함양하는 사회성이 강한 집단 연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하겠다. 들놀음은 정월 보름날, 보름달 아래서 마을의 안녕을 빌 고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면서 농토를 상징하는 들에서 펼 치는 놀이이다. 예능보유 종목은 원양반, 말뚝이, 할미, 가면제작, 악사가 있으며, (사)부산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전승·보존에 힘쓰고 있다아 . 좌수영방어놀이 수영은 연안어업이 성하여 어업 협업체로 어방(漁坊)이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