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언어의 쓰임과 인지 > seoulsportal6 | seoulsportal.or.kr report

언어의 쓰임과 인지 > seoulsportal6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6

언어의 쓰임과 인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3:02

본문




Download : 언어의 쓰임과 인지.hwp






,인문사회,레포트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이론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 , 언어의 쓰임과 인지인문사회레포트 ,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1.gif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2.gif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3.gif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4.gif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5.gif 언어의%20쓰임과%20인지_hwp_06.gif



언어의 쓰임과 인지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이론(理論)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다
.
먼저 담화(discourse)의 定義(정의)를 살펴보면, 다음 두 가지로 갈린다.

a. 언어 표현의 단위로서 문장보다 큰 것

b. 설화(narrative), 대화(conversation)를포함한 언어의 쓰임

여기서는 화용론의 定義(정의)와 마주치는 b를 취하기로 한다(Schiffrin 1994, 1987 참조).
인지(cognition)라 하면, 지각(perception), 심상(image), 범주화, 개념(槪念)화, 기억, 이해, 학습, 문제 풀이(problem solving), 상상 및 사고의 포괄적인 심리 과정을 포함한다. 상호작용을 하는 담화에 인지의 거의 모든 부분이 관여하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화용론(pragmatics)이나 담화 이론(理論)의 영역이 대단히 넓어 그것이 어디서 어디까지인지를 定義(정의)하기가 어렵지만, 대체로 화행 이론(理論), 전제, 가리킴말-지시-대용-정보구조 및 연관성 이론(理論), 사회적 관계와 사회집단을 고려하는 상호작용적 사회언어학, 의사소통의 민생론, 대화analysis(CA), 변이analysis 등의 접근과 기능주의와 형식주의의 대립 그…(To be continued )

언어의 쓰임에 관해 연구하는 화용론이나 담화 理論(이론) 일반의 관심사를 인지와의 관계 하에 살펴보고자 한...
순서
설명







I. 언어의 쓰임에 관한 연구의 방향

Download : 언어의 쓰임과 인지.hwp( 73 )





레포트/인문사회
다.
전체 36,606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