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응용곤충학 experiment(실험) - 대구 근교의 곤충 발생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21:28
본문
Download : 응용곤충학 실험 - 대구 근교의 곤충.hwp
설명
재료 및 방법
한국은 1970년대 이후 일부 정부기관을 중심으로 한 곤충분류학에 대한 연구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한국곤충학회가 발족 (1971년)된 것은 우리나라 곤충학 발전사에 남을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채집 방법에는 포충망, 수은등, 당밀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번 수업에서는 가장 일반적인 잠자리채 형태의 포충망을 이용하여 포획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 장소에서 분류한 곤충을 비교, analysis(분석) 하여 종 다양성을 확인하고 곤충 발생 동향을 알아보았다.
최근 한국곤충학회와 한국응용곤충학회가 공동으로 펴낸 한국곤충명집 (1994)에 따르면 총 기록된 곤충의 종수가 12,000여종으로 딱정벌레목이 26%, 나비목 곤충이 25% 등으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벌목, 노린재목 순이었다.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





순서
한국은 1970년대 이후 일부 government 기관을 중심으로 한 곤충분류학에 대한 연구 사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 스타트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에 한국곤충학회가 발족 (1971년)된 것은 우리나라 곤충학 발전사에 남을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Download : 응용곤충학 실험 - 대구 근교의 곤충.hwp( 81 )
2012년 5월 9일과 16일에 팔공산에 있는 컨츄리클럽과 앞산 부근을 방문하여 곤충채집을 실시하였다.
응용곤충학 실험,대구 근교의 곤충 발생동향
응용곤충학 experiment(실험) - 대구 근교의 곤충 발생동향
이번 수업에서는 경북대학교 대구광역시 근교의 산에서 발생한 곤충을 채집하고 형태학적 동정을 실시하여 분류를 하였다. 포획 직후, 포충망 안에 있는 곤충을 흡충관으로 빨아들여 포름알데히드를 적신 솜이 들어있는 마취 통에서 마취를 시켰으며 나비목의 경우 몸통의 가슴 부분을 지그시 눌러 근육을 파열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