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과 신자유주의 비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30 02:54
본문
Download : 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과 신자유주의 비판.hwp
“公”의 실천을 말하기는 하였지만, 점점 더 복잡해지는 현실 속에서 “公”의 제도화가 어떤 모습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인가를 밝히지 않았다. , 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과 신자유주의 비판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과 신자유주의 비판.hwp( 14 )
이 글에서 나는 먼저 이제까지 민중신학에서 표현되어 왔던 다양한 유토피아 구상을 살펴보겠다. 그 다음, 나는 민중신학의 유토피아적 동기를 견지하면서 신자유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생각해 보겠다. 나는 유토피아와 메시아 왕국에 대한 서남동의 개념(槪念)적 구별에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다.
2. 메시아 왕국에 대한 서남동의 성찰
서남동의 유토피아적 구상은 메시아 왕국에 대한 그의 성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것은 민중신학의 이름으로 어떤 프로그램(program]) 을 제시하는 것을 금기시한 그의 신학적 사유와 무관하지 않다. 물론 그에게서 유토피아와 메시아 왕국은 그 뿌리와 표현이 다른 것으로 여겨지고 있따 그에 따르면, 유토피아는 그리스 사상의 흐름에서 기인한 것으로서 엘리트주의적이고, 현존하는 세계와 공간적으로 구별된 새로운 세계에 대한 구상으로 나타나는 데 반해서, 메시아 왕국은 히브리 사상의 흐름에서 나온 것으로서 민중의 주체성을 중심으로 하고 “썩어가는 사회가 전체적으로 새로워지는 후천개벽(後天開闢)”을 지향한다고 한다. 그 다음, 나는 민중신학의 유토피아적 동기를 견지하면서 신자유주의를 극복하기 위해 몇 가지 제안을 생각해 보겠다.
순서
I. 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
1. 하느님 나라에 대한 안병무의 해석
2. 메시아 왕국에 대한 서남동의 성찰
3. 메시아 통치에 대한 김용복의 접근
4. 중간결산
II. 민중신학에서 본 신자유주의의 문제
1. 신자유주의의 논리와 그 실천
2. 신자유주의에 대한 민중신학의 비판
III. 민중의 경제를 위한 민중신학의 몇 가지 제안
1. 시장의 실패에 대한 인식
2. 시장의 규율에 대한 민중신학의 제안
IV. conclusion
물론 안병무는 민중이 실현해 가는 하느님 나라가 이 세상에서 구체적으로 어떤 제도의 틀로 구현될 수 있는가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하지 않았다.
민중신학의 유토피아 구상과 신자유주의 비판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이 글에서 나는 먼저 이제까지 민중신학에서 표현되어 왔던 다양한 유토피아 구상을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