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9 21:25
본문
Download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hw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hwp( 47 )
1. 연구 목적
말뭉치는, 자료(data)의 效果(효과)적인 추출을 위해 통일성 있게 표기되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난 2년 동안(1998년 ∼ 1999년)의 ■■the twenty-first century 세종 계획■■ 기초 말뭉치 구축 프로젝트(현대 국어 구어 전사 말뭉치 구축) 작업 중에서, 특히 1차 전사된 자료(data)를 교정하는 가운데 드러난 띄어쓰기의 문제가 되는 자료(data)…(省略)
설명
다. 이 경우 전사자의 표기 습관에 의해 말뭉치 표기가 결정되므로, 일관성 있는 자료(data)의 획득을 위해서는 표기 원칙의 통일이 필요하게 된다된다. 특히 맞춤법의 문제 중에서도 띄어쓰기가 가장 문제가 된다된다.말뭉치에서의띄어쓰기에대하여 ,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인문사회레포트 ,
말뭉치에서의띄어쓰기에대하여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말뭉치에서의 띄어쓰기에 대한 보고서입니다.
우리말의 띄어쓰기 규정에는 원칙과 허용이 동시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계량 단위로써의 자료(data)를 얻기 위해서는 전사 전에 그 원칙을 꼼꼼하게 규정해 두거나, 작업 후 후처리 과정을 거쳐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후자는 역시 소모적인 일이 될 수 있으므로, 전사 원칙에서 띄어쓰기 방법을 강구하고자 한다. 입말뭉치는 원자료(data)가 텍스트가 아닌, 발화를 담은 비디오 테잎이나 오디오 테잎이므로, 원자료(data)의 글자 표기가 존재하지 않는다. 글말의 경우 원문의 표기에 따라 말뭉치 자료(data)가 구축되는 데 비해, 입말뭉치는 그 문제가 조금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