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비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8 01:50
본문
Download : 한국고전비평.hwp
『청구풍아』는 정선한 것이지만 널리 수집하지 못하였고『속청구풍아』는 취한 바가 명확 하지 못하다. 그러나 문에는 목은 이색을 대가로 추천하고, 시에서는 읍취헌 박은을 절조로 추천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김창협 농암집 - 김창협(…(To be continued )
한국고전비평
한국고전에 관한 비평문으로 理論(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기술한 글입니다. 실지로 누구에게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선시 작업이란 힘들지 않을 수 없다. 근래에 『국조시산』은 자못 자세히 조사한 것 같지마는 국초로부터 처음 하여 선조조에 이르기까지 처음부터 끝까지 완비하지는 못하였다.한국고전비평 , 한국고전비평인문사회레포트 ,
,인문사회,레포트
Download : 한국고전비평.hwp( 57 )
레포트/인문사회
조선 후기 문인들의 비평에 대한 견해는 시문의 가치를 알고 그것을 평가한다는 것을 가장 어려운 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작시(작시)와 평시(평시)의 능력을 별개의 것으로 파악하여 지시(지시) 곧 평시를 별재(별재)라 해서 하나의 독립된 문학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기에 ‘내가 남의 시권을 많이 보고나서, 장차 그것을 욕하려고 하면 남들이 싫어하고, 그것을 칭찬하려고 하니 내 마음이 좋지가 않다.’라는 말에서 비평의 어려움을 충분히 이해하고 그에 대해 신중한 태도들을 나타내고도 있으며 평시에 있어 태각(태각)과 태관(태관) 즉 악평과 호평의 극단으로 흐르는 것보다는 정확한 비평을 꾀하고자 하는 의도도 나타나 있다 또한 시의 가치를 시 자체의 성공 여부로 평가하지 않고 외부적인 여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배격하고 있다
한편, 시평 활동에 있어서 가장 어렵게 생각한 것은 선시(선시)의 작업이었다. 선자의 시에 대한 안목도 높아야 할 것은 물론이려니와 그 나름대로의 일정한 선시의 기준도 가져야 할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선시에 대한 관심은 역대의 선시에 대한 평가에서도 나타나 있다
“『동문선』은 널리 수집하긴 했어도 정선하지 못하였고, 『속동문선』은 작품의 수가 많지 못하다.” 남용익 호곡집 //
“요즈음 호곡 남용익이 편한 『기아』의 목록에는 이규보의 문장을 우리 나라의 으뜸이라 하였는데, 내 생각으로는 이 말이 잘못된 것 같다‥‥(중략)‥‥우리 나라의 문장을 논하면서, 한 사람만을 택하여 으뜸으로 삼는 것은 실로 어려운 일이다.한국고전에 관한 비평문으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기술한 글입니다.






한국고전비평
설명
순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