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측정(測定) 모델을 이용한 과학기술 국민이해 조사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11 19:21본문
Download : 새로운 측정모델을 이용한 과학기술 국민이해.hwp
순서
새로운 측정(測定) 모델을 이용한 과학기술 국민이해 조사연구
1. 연구목적
6. 연구결과 요약 및 제언
2. 과학기술 국민이해 연구現況 분석
측정모델 과학기술 국민이해
과학기술에 대해 일반국민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점 때문에 주목을 끌기 스타트했다. 첫째로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problem-solving), 둘째로 어떤 결정을 내리는 과정 (decision-making), 그리고 셋째로 어떤 질문의 해답을 찾는 과정 (question- answering)에서 과학기술 이해가 얻어질 가능성이 높다 (Carter, 2001). 흔히 과학기술 관련 3대 활동영역으로 간주되는 기술개발, 정책결정 및 과학탐구는 바로 그들 각각의 일부분을 가리킨다. 그리고 그것은 과학기술에 대한 직접적 연구보다 일반인의 이해에 보다 많은 초점이 주어지는 관계로 사회과학적 접근을 요구해왔다. 그러므로 그들 세 가지 행동과정 중 하나에서 또는 그것이 다른 하나를 중첩적으로 이용하면서 (예: 기술개발이 과학탐구의 결과 이용) 기존의 과학기술을 연계시키거나 새로운 과학기술을 창출하기도 한다. 이런 도구적인 관점을 배경으로 하여 소위 PUST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 Technology) 연구로 일컬어지는 과학기술 국민이해 연구가 출발하였다. 예를 들어, 건강에 이상을 발견하면 그것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고, 요인을 규명하며 해결방안을 찾는 적극적인 연관짓기 과정에 나서야
설명
레포트 > 공학,기술계열
일반인들의 과학기술 이해는 주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종류의 행동과정에서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첫째로 과학기술이 국가발전의 key point(핵심) 을 이루기 때문에 과학기술의 저변확대를 위해 일반인들도 과학기술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는 점과, 둘째로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서는 막대한 공공자금이 소요되기 때문에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전반적인 지지를 끌어내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리고 그들 행동과정에 과학기술이 얼마나 기여하느냐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연관짓기가 또한 이루어지고, 그 결과가 바로 행위자의 과학기술 국민이해 수준으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다.
5. 조사결과
Download : 새로운 측정모델을 이용한 과학기술 국민이해.hwp( 39 )
측정모델 과학기술 국민이해 / (측정모델)
3. 새로운 관념화와 측정(measurement)도구 개발
4. 조사방법





다. 즉, 행위자의 적극적인 개입 없이는 그런 행동과정을 진행할 수 없다.
측정(測定) 모델 과학기술 국민이해 / (측정(測定) 모델)
이들 세 종류 행동과정은 기본적으로 어떤 사안에 대한 우리의 적극적인 연관짓기 (engagement)를 전제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