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지와 갯벌 보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10:47본문
Download : 습지와 갯벌 보호.hwp
육지 쪽 경계선은 최대 만조 시에 바닷물이 닿는 곳이다.. 따라서 갯벌이라고 써야 정확하다. 물론 우리가 흔해 볼 수 있는 갯벌에서는 이런 종류의 퇴적물이 우세하긴 하지만 모래도 섞여 있기 때문에 정확히 그 퇴적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아닐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중요한 부분일 수 있다아 왜냐하면 간척론자들은 갯벌을 쓸모없는 땅으로 간주하여 이곳을 옥토로 바꾸는 그들의 간척논리를 합리화하는 도구로 사용하는데 이용했기 때문일것이다
1-1. 갯벌의 定義(정의),
2-1. 습지의 중요성,
(4) 갯벌과 습지의 보존measure(방안)
※서론 - 최근, 습지와 갯벌에 대한 관심사 증가 ※본론 (1) 갯벌 1-1. 갯벌의 정의, 1-2. 갯벌의 유형, 1-3. 갯벌의 기능 (2) 습지 2-1. 습지의 중요성, 2-2. 습지의 기능과 가치 (3) 갯벌과 습지의 훼손에 대한 문제점 (4) 갯벌과 습지의 보존방안 1. 국가별 1-1. 미국 1-2. 일본 1-3. 독일 1-4. 네덜란드 2. 국제협약 2-1. 람사 협약 ※결론
설명
습지와 갯벌 보호,습지,갯벌
다. 바닷물이 닿지 않는 곳은 육상생물이 살고 있으므로 이를 갯벌이라고 하지는 않는다. 영어로는 Tidal flat 이라고 하는데, 갯벌을 본 사람이라면 알 수 있겠지만 갯벌은 그야말로 평평하기 때문일것이다 간혹 신문에서 갯벌을 개펄로 표기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이 용어는 일제시대부터 사용하였는데, 주로 간척 공학에서 쓰이는 용어이다.
1-3. 독일
(2) 습지
1-2. 일본





2-2. 습지의 기능과 가치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2. 국제협약
1-2. 갯벌의 유형,
(1) 갯벌
※서론
※conclusion
1-3. 갯벌의 기능
※본론
(3) 갯벌과 습지의 훼손에 대한 drawback(걸점)
1-1. 미국
갯벌은 바다 쪽과 육지 쪽으로 경계를 가진다. 바로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우리의 귀중한 자연 유산이다. 바다 쪽 경계선은 물이 가장 많이 빠져나간 최대 간조선이다. 이것의 의미는 간만의 차이에 의해 드러나는 지역이라는 뜻의 한자어이므로 뜻으로는 전혀 틀리지는 않으나 갯벌이 순수한 우리말이므로 갯벌을 사용하는 편이 낫다. 펄이란 지질학적으로 볼 때 60마이크론 보다 작은 개흙 입자를 가리킬 때 쓰는 말이다. 뻘이란 말을 쓰기도 하는데 이것은 펄과 같은 의미이다. 아마 갯벌을 간석지와 헷갈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1. 국가별
1-4. 네덜란드
- 최근, 습지와 갯벌에 대한 관심사 증가
습지와 갯벌 보호
Download : 습지와 갯벌 보호.hwp( 11 )
2-1. 람사 협약
지난해 세계적인 과학잡지 「Nature」지는 갯벌의 경제적인 가치를 지구생태의 총 가치의 5%로 추정한 바 있다아 이는 전 세계의 호수와 강이 갖는 생태계 가치와 맞먹는 것으로, 갯벌이 지구 생태계에서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 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아 갯벌은 전 지구생태계의 면적의 0.3%에 불과하나 단위 면적 당 생태적 가치는 농경지의 100배, 숲의 10배에 해당하기 때문에 좁은 면적에도 불과하고 지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순서
갯벌이란 조수가 드나드는 바닷가나 강가의 모래 또는 개펄로 된 넓고 평평하게 생긴 땅을 말한다. 갯벌은 주인 없이 버려져 있는 쓸모없는 땅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바다를 풍요롭게 가꾸어 온 우리의 산하이며, 우리나라의 한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mean or average(평균) 최대 간조선을 갯벌의 아래 쪽 경계선으로 잡는다. 일반적으로 조류로 운반되는 가는 모래나 점토 등의 미세한 입자가 파랑의 작용을 적게 받는 해안에 오랫동안 쌓여 생기는 평탄 지형으로 조수의 들고 남에 따라 공기 중의 노출과 물 속에 잠김을 반복한다. 갯벌이 바다일까 육지일까 헷갈리기는 하지만, 바닷물이 드나드는 곳이므로 갯벌은 엄연히 바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