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04:49본문
Download :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hwp
이솔로지를 독립된 학문으로 확립한 사람들은 오스트리아의 로렌츠, K. 프리슈, 네덜란드의 틴버겐 등이며, 1930∼1960년대 연구결과를 발표하여 세 사람 모두 1973년 노벨생리학상을 수상하였다.
순서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Download :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hwp( 78 )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이솔로지의 history(역사)
설명
동물(사람도 포함)의 행동을 연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 행동학·동물행동학·행동생물학·비교행동학이라고도 한다. 좁은 뜻의 이솔로지(고전적 이솔로지)에서는 행동을 유발하는 요인과 그 반응으로서의 행동을 취급하고, 행동의 기능을 설명(explanation)하는 경우가 많다. 독일의 동물학자 O. 하인로트는, 새의 행동형은 생득적(生得的)으로 결정되어 있으며 동물의 분류군마다 고유의 행동형이 있다고 하였다. 한편 행동에 관한 연구가 생물학의 한 분야로 인정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이솔로지라는 말은 1854년 프랑스 동물학자 I. 조프루아 생틸레르가 만든 것인데, <생물의 본능·습성 및 그 밖에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행동과 외부environment과의 관계를 연구하는 과학>이라고 정의(定義)하였다. 1910∼1920년대 영국의 T.H. 헉슬리는 번식기의 새가 이성을 유인하는 행동은 하나의 신호시스템으로 되어 있으며, 신호효율가 큰 것을 선택하는 방향으로 자연선택이 작용한 결과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실제로 이 정의(定義)는 사용되지 않고, 이솔로지의 창시자들은 <이솔로지란 행동에 관한 비교연구를 하는 과학이며, C.R. 다윈 이후의 모든 생물학의 방법을 동물이나 인간의 행동에 적용함으로써 생겨난 것이다(K. 로렌츠)> 또는 <이솔로지란 행동의 생물학적 연구이다(N. 틴버겐)>라고 정의(定義)하였다. 행동 자체는 예로부터 박물학자의 흥미를 끌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동물의 행동에 관하여 기술하였으며, 그 중에는 의인적(擬人的) 해석이 첨가된 것도 있다아 이 시기의 연구자로는 《곤충기》을 저술한 J.H. 파브르를 들 수 있다아 다윈은 인간을 포함한 진화의 연속성을 주장, 동물의 구조나 기능이 자연선택에 의해 진화했다는 것을 제시하였는데, 행동에도 역시 자연선택이 적용된다고 생각하고 그 비교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1871). 이솔로지의 번역어로 전에는 습성학이라는 말이 사용되었는데, 그것은 그 시기까지 적합한 것이었다.
세 학자의 연구
레포트 > 기타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기타] 품성학이 교육에 미치는 시사점
다. 또한 동물의 종에 따라 다른 행동을 비교함으로써 행동의 진화를 논한다. 이솔로지 연구는 야외나 실내를 불문하고 행동에 대한 觀察(관찰) 과 실험을 하기 위해 동물심리학·동물생태학·동물사회학·감각생리학 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중복되는 부분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