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 > seoulsportal4 | seoulsportal.or.kr report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 > seoulsportal4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4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9 08:46

본문




Download :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hwp





‘계락’에서 ‘락’이 가곡(음악)을 뜻하며, ‘락시조’에서 ‘락’이 곡조∕음조를 뜻한다면 마땅히 “계악”, “악시조”로 읽어야 옳은 것인데, 무슨 까닭인지 “계락”, “낙시조”로 읽히고 있는 것이다.
한편, 상식적인 설명(explanation)이지만, ‘락’은
①즐겁다, 즐거움, 즐기다, 즐겁게 하다 … 락
②풍류(음악), 주악(주악)하다, 풍류인, 아뢰다, 사람 이름 … 악
③좋아하다, 하고자 하다 … 요
처럼 세 가지 음으로 읽히는 글자이다.〔ⓒ사전〕
계면조: -국악에서 선법의 하나. 슬프고 애타는 듯 한 느낌을 주는 음조. 서양 음악의 단조에 가깝다.〔ⓒ사전〕
-노래와 풍악에서 슬프고 처절한 조(조). 양악의 단조(단조)와 비슷함.
-국악 5음계의 한 이름. 일명 우조(우조)라고도 함. ‘궁·상·각·치·우’, 즉 ‘라’음이 으뜸이 되는 조(조)이며, 서양 음계의 단조의 느낌과 비슷함. 보기: 중거(중거) 태평가, 천안 삼거리, 밀양 아리랑, 강강수월래, 농부가 등은 계면조임.〔ⓨ사전〕
와 같이 풀이되어 있다아 여기서 우리는 ‘계락’의 ‘락’이 어떤 뜻을 나타내는가 하는 데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아 사전의 풀이로 볼 때 ‘락’이 가곡(가곡) 곧 음악(노래, 노래의 곡조)을 뜻하는 것임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것 같다.
설명

Download :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hwp( 38 )







우락(우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우락시조’의 준말로, 우조(우조)에 속함.


우락(우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우락시조’의 준말로, 우조(우조)에 속함.언락(언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언... ,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기타레포트 ,
언락(언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언...


레포트/기타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1.gif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2.gif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3.gif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4.gif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5.gif 잘못%20쓰이고%20있는%20말들_hwp_06.gif
,기타,레포트
잘못 쓰이고 있는 말들



순서
우락(우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우락시조’의 준말로, 우조(우조)에 속함.
언락(언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언락시조’의 준말. 우락(우락), 계락(계락)과 상대되는 곡조. 지르는 낙시조.
편락(편락): 우리 나라 옛 가곡의 한 가지. ‘편’은 엮는다는 뜻, ‘락’은 낙시조(락시조)의 준말로, 본디 이름은 편락시조(편락시조)였음. 엮음 낙시조.
낙시조: 악학궤범에 밝힌 거문고와 가야금의 낮은 조. 평조와 계면조에 각각 7조가 있었는데, 일지・이지・삼지・사지가 이에 딸린다.
우리의 국악이 일제 36년 동안 단절되었다가 광복 후에 부활할 때 ‘계락’, ‘락시조…(투비컨티뉴드 )
다.
전체 36,73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