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용수의 위생관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3 05:49본문
Download : 음용수의 위생관리.hwp
⑥ 잠복기간은 지연되는 경향이 있다
2) 수인성 전염병의 종류
수인성 전염병에는 이질, 장티프스, 파라티프스, 콜레라, 유행성 감염, 살모네라증, 병원대장균 감염증, 급성 회백수염, 천열, 전염성 설사, 이질 아메바등.
⑵ Mills-Reinke 현상
물을…(省略)
설명
다.
② 발생지역은 급수지역과 일치하며, 전지역 또는 부분적으로 발생한다.
③ 성별, 연령별 분포에 구분없이 발생된다
④ 환자는 반드시 냉수 음용자 중에서 발생한다.
음용수,위생관리,의약보건,레포트
음용수의 위생관리 , 음용수의 위생관리의약보건레포트 , 음용수 위생관리
레포트/의약보건


음용수의 위생관리
순서
Download : 음용수의 위생관리.hwp( 87 )
음용수의 위생관리
음용수의 위생관리
1. 오염방지의 주요사항
1) 취수원 지대
수원지댕 있는 전답 등에 분뇨를 시비하였거나 농약?살충제 등을 살포할 경우 또는 전염병의 병원체 보유자가 출입할 경우 음용수의 오염이 일어남.
2) 여과지 등의 정수시설에 종사하는 자
배수지는 사람의 출입에 의하여 오염될 염려가 있으므로 종사자의 건강상태에 주의해야 하며, 증?개축시도 위생교육을 철저히 실시.
3) 사용자의 부주의
급수전에 오수가 역류하거나 상수도관에 오수가 침입하는 일이 없도록 유의하여야 하며, 무단으로 급수관과 사설수도를 연결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⑤ 이환률 및 사망률이 일잔적으로 낮다. 단, 병원성 생물에 의하여 오염되었거나 오염 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유리 잔류염소가 0.4㎎/ℓ(결합 잔류염소일 때는 1.8㎎/ℓ)이상이 되도록 염소소독을 해야 한다.
3. 위생관리
⑴ 수인성 전염병
1) 수인성 전염병의 특징
① 발생상황은 원칙적으로는 폭발적으로 발생하나 질병 및 상황에 따라서 연속적이다.
4) 천재지변
풍수해, 지진, 지반침하 등의 재해에 의하여 오염을 받기 쉬우며, 특히 홍수시는 전염병발생을 일으킬 경우가 많으므로 자주 점검하고 신속하게 대처.
2. 위생상의 조치
- 수도사업자가 행하여야 할 위생상 필요한 조치
수도전에 있어서 음용수의 유리 잔류염소가 항상 0.2㎎/ℓ(결합 잔류염소일 때는 1.5㎎/ℓ)이상이 유지되도록 염소소독을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