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판정(평가) 방식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20:28
본문
Download : 반대신문식토론학습의판.hwp
토론수업에서 토론과정과 결과에 대한 합리적인 평가(판정)는 토론수업의 질적 改善과 인간 관계의 改善은 물론,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과 결과에 승복하는 토론culture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국어과 토론수업에서 토론활동에 대한 평가는‘고차원적인 사고 능력으로서의 언어 능력 평가, 교수-학습 활동의 改善을 위한 평가, 통합적인 언어 능력의 평가’가 될 수 있어서, 토론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는 평가 방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학생들의 국어사용 능력을 신장시키고 국어 토론culture에 대한 안목을 넓혀 건전한 민주시민 을 길러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즉, 초등학교 6학년에서 실제로 이뤄진 반대 신문식 토론수업(학습)을 중심으로, 문제점이 무엇인지를 찾아보고, 그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서 찬-반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특히 기준)을 모색하는 것이 이 글의 目標(목표)다.
1. 서론
3.2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평가 원리와 기준
3.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평가 방식
순서
반대신문식토론학습 논증론 국어과교육과정 토론수업 국어토론문화
2.1 반대 신문식 토론의 논증론에서의 위치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판정(평가) 방식 연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반대신문식토론학습 논증론 국어과교육과정 토론수업 국어토론문화 / ()
4. conclusion(결론)
이 글은 미시적 관점에서 쓰여졌다.





설명
3.1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 예시
반대신문식토론학습 논증론 국어과교육과정 토론수업 국어토론문화 / ()
2.2 교육과정에 토론이 반영된 모습
3.3 반대 신문식 토론학습의 평가 시기와 방법
2. 반대 신문식 토론과 국어과 교육과정
Download : 반대신문식토론학습의판.hwp( 31 )
토론은 그 성격상 미리 찬반이 결정되어 논의가 진행되는 집단적 말하기 방식이어서, conclusion(결론)의 개방성을 特性으로 하는 토의와는 다르게 conclusion(결론)의 폐쇄성을 特性으로 한다.
다. 따라서 conclusion(결론)의 폐쇄성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토론이 진행되는 과정이 투명해야 하고, 이런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 절차와 규칙의 준수는 물론, 결과에 승복하는 culture가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