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7 10:02
본문
Download :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hwp
”
4) 행복의 근원 : 인격의 존엄을 바탕으로 한 쾌락 추구
5) 내적 …(투비컨티뉴드 )


다.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Download :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hwp( 96 )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사상과 관련 학자에 마주향하여 조사하였습니다.19세기영국의공리주의 ,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인문사회레포트 ,
19세기영국의공리주의
1> 공리주의 출현 배경과 기본 사상.
2> 벤담 (Bentham, J., 1748-1832)의 양적 공리주의 ((量的 功利主義)
3> 밀 (Mill, J. S., 1806-1873)의 질적 공리주의 (質的 功利主義)
4> 프랑스의 실증주의 (實證主義,positivism)
5> 20세기 현대 미국의 실용주의 (實用主義, pragmatism)
2> 벤담 (Bentham, J., 1748-1832)의 양적 공리주의 ((量的 功利主義)
1) 옳은 행동 : 결과적으로 가급적 많은 이에게 행복을 증진시켜 준 행동 (공리성에 근거)
2) 그릇된 행동 : 불쾌감과 고통을 가져다 준 행동 (쾌락 = 선 / 불쾌 = 악)
3) 쾌락은 오직 한 종류이며 질적 차이는 없고 양적인 차이만 있음.(양적 공리주의).
4) 쾌락과 행복의 수량적(數量的) 계산 가능 - 쾌락 계산의 기준 : 강도과 지속성, 확실성과 근접성,
생산성과 순수성, 범위
5) 개체주의적 사회관과 평등 사상, 다수결의 원칙 : 개인의 쾌락, 행복의 증대는 사회 전체의 행복 증대
6) 인간 도덕적 행위를 위한 신체적, 도덕적, 정치적, 종교적, 법률적 등의 외적 제재 (外的 制裁)의 필요
3> 밀 (Mill, J. S., 1806-1873)의 질적 공리주의 (質的 功利主義)
1) 쾌락 : 삶의 궁극적 목표(目標)이자 최고선이지만 질적인 차이를 강조함
2) 정신적 쾌락 (질적으로 높고 고상한 쾌락)과 육체적 쾌락(저급한 쾌락)
3)“배부른 돼지가 되기보다는 차라리 배고픈 인간이, 만족스러운 바보가 되기보다는 불만족스러운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9세기 영국의 공리주의 사상과 관련 학자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