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 / 배당정책(dividend polic > seoulsportal3 | seoulsportal.or.kr report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 / 배당정책(dividend polic > seoulsport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3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 / 배당정책(dividend polic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2 14:21

본문




Download :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hwp




배당정책(dividend policy)이란
1. MM의 모형




① 未來의 불확실성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 / 배당정책dividend polic
▶ 모디글리아니와 밀러(F.Modigliani and M.H.Miller MM)는 완전자본시장이 존재하고 투자자들이 배당소득과 자본이득에 대해 무discrimination하다면, 기업가치는 본질적으로 기업자산의 수익력에 의해 좌우될 뿐 기업의 이익을 배당과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기술적 문제인 배당정책과는 무관하다는 배당무관련 theory(이론).
순서
배당의 정보효율는 정보의 비대칭(inf...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 / 배당정책(dividend polic
설명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hwp( 76 )



3. 배당소득을 선호하도록 하는 요인들


유보이익의 증가는 주가를 상승시켜 자본이득을 증가시킨다. 재무관리의 goal(목표) 는 기업가치의 극대화이므로 기업가치를 극대화하는 배당정책이 최적 배당정책이라 할 수 있따 따라서 배당이 많고 적음에 따라 기업가치 또는 주가가 달라질 것인가, 달라진다면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배당수준은 얼마인가 하는 것이 배당정책의 주요 논점이라 할 수 있따 배당정책theory(이론)에는 ‘그라함과 도드의 모형’ ‘월터의 모형’ ‘고든의 모형’ ‘MM의 모형’ ‘불완전시장에서의 배당정책theory(이론)’이 있따 한다. 따라서 이들 요인간의 상층관계에서 기업의 최적 배당정책이 존재할 수 있따
다. 이 중에서 어떤 요인은 투자자들로 하여금 배당소득을 선호하도록 하며, 어떤 요인은 자본이득(유보)을 선호하도록 한다.





② 배당의 정보효율(signalling theory)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 대한 배당금과 재투자를 위한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의사결정을 말한다. 그러나 未來가 불확실하다면 투자자들은 그들의 지분이 유보되어 불확실한 未來투자기회에 재투자되기보다 확실한 배당으로 지급되기를 원할 것이다.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6175_01.gif 배당정책 (dividend policy) 이란-6175_02_.gif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배당정책(dividend policy)이란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 대한...


2. 불완전시장에서의 배당정책theory(이론)

배당정책(dividend policy)이란 기업의 이익을 주주에 대한...
▶ MM의 배당무관련theory(이론)은 완전자본시장의 존재와 투자자들이 배당소득과 자본이득에 대하여 무discrimination하다는 가정하에서 성립하는 槪念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자본시장이 완전할 수는 없으며, 배당소득과 자본이득에 대하여 무discrimination할 수 없도록 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존재한다.
전체 36,7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