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지명채권양도와 이의없는 승낙 > seoulsportal3 | seoulsportal.or.kr report

지명채권양도와 이의없는 승낙 > seoulsport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3

지명채권양도와 이의없는 승낙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5 07:37

본문




Download : 지명채권양도와 이의.hwp




그런데 이러한 구조 아래서는 지명된 채권자가 임의로 채권을 양도한 경우에는 채무자 및 이해관계있는 제3자는 채권양도의 사실을 모르기 때문에 예측하지 못한 손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지명채권양도에 있어서는 채무자 및 제3자에게 진정한 채권자가 누구인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기준을 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민법 제451조 2항은 채무자가 이의를 보류하지 않고 채권양도를 승낙한 경우에는 양도인에게 주장할 수 있는 항변을 양수인에게는 주장할 수 없다는 취지이며 이는 지명채권양도의 동적 안전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다.


지명채권 이의없는승낙 이중양도 지명채권양도 채권양도 / ()
지명채권 이의없는승낙 이중양도 지명채권양도 채권양도

list_blank.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2.이의없는 승낙의 법적 성질



지명채권 이의없는승낙 이중양도 지명채권양도 채권양도 / ()


4.채권의 이중양도의 효력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지명채권양도와 이의없는 승낙


다.

Download : 지명채권양도와 이의.hwp( 29 )


_ 지명채권이 양도되어 양수인이 대항요건을 구비한 경우에 이 시점에서 채무자가 양도인에 대하여 주장할 수 있는 항변은 양수인에게도 주장할 수 있어야 한다.





설명
순서
1.고찰의 대상
3.이의없는 승낙의 효력

5.결 론 지명채권은 양도인과 양수인간의 특별한 방식이 필요없는 낙성계약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동적 안전을 확보하는 방향에서 그 양도성을 촉진한다. 민법은 제450조에서 채무자와 제3자를 보호하기 위해 지명채권양도의 대항요건을 규정하고, 제451조에서는 양수인 보호를 위해 채무자로부터 양수인에 대한 항변의 범위를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항변이 없는 것과 같은 외관을 갖춘 경우에는 이 외관을 신뢰한 채권의 양수인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전체 36,7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