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 > seoulsportal3 | seoulsportal.or.kr report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 > seoulsport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3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18 12:34

본문




Download :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hwp





설명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1.gif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2.gif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3.gif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4.gif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5.gif 자산어보와%20흑산도방언에%20관한%20고찰_hwp_06.gif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본서는 삼(삼)권 이(이)책으로 작성되어 내용은 어류 116종 잡충 4종 해금(해금) 5종 해수(해수) 1종 및 해조(해조) 25종에 관한 한자명 방언 형태 습성 및 이용들을 조사 기록한 귀중한 문헌이다. 그리고 정다산(정다산)의 묘지명(묘지명)에는 이(이)권으로 되어 있으나 추측컨데 유배지의 상기에서 나온 잘못인 것 같다. ᄀ. 정다산: 선중씨묘지명(여유당전서 제일집십오권41엽)
-(중략)-공라어선술 고소저불다유 론어난이권 이간일권 자산어보
이권 송정사의일권 개해중소작
ㄴ.이병기씨(이병기씨): 한국 명저해제사조 창간호 1958년 6월호
128. 어보(어보)
일책(일책) 사본(사본) 정약전(정약전)의 소저(소저)인 자산어보(자산어보)와 김려(금려)의 소저(소저)인 우해이어보(우해이어보)와를 합한 것인바 어류, 해초, 패류(패류)의 명칭이 우리말로 적혔다.자산어보와흑산도방언에관한고찰 ,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감상서평레포트 ,

Download :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hwp( 85 )





레포트/감상서평
순서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




자산어보와흑산도방언에관한고찰







다.
진씨본(진씨본)의 크기는 가로가 17.7Cm 세로가 24.8Cm로 매면십행(매면 십행), 21자로 되어…(skip)


,감상서평,레포트
자산어보와 흑산도방언에 관한 고찰에 대한 글입니다.
ㄷ. 최현배(최현배)씨“ 한글갈 P.226 정음사간(정음사간) 1956 어보(일권) 사본 편자 연대 미상 경성제국대학장(사본 편자년대 미상 경성제국대학장)
이는 정약전(정약전)이 지은 자산어보(자산어보)와 김려(김려)의 지은 우해이명보와의 합본인데 어류, 해초, 구류의 이름이 조선말로 적혀 있다아
ㄹ. 정문기(정문기)씨:정약전(정약전)의 자산어보(자산어보)(사조(사조) 제 1권 4호 1958년 9월)
자산어보(자산어보)는 서거 1914년에 정약전(정약전)(정다산 형)이 당시 천주교사변으로 몰리어 흑산도(흑산도)에서 16년간 적거생활하면서 조차 편찬한 한국수산 문헌이다.

이상의 기록으로 보아 현재까지 내용이 잘 알려져 있는 것은 정(정)씨의 소설(소설)인데, 정(정)씨의 말에 의할 것 같으면 삼권(권)이책(책)으로 되어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진씨본(진씨본)은 삼권(권)일책(책)으로 되어 있다아 생각컨데 필사(필사)시 이책(책)을 일책(책)으로 만들었는지 모르겠다.
전체 36,7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