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장단의 종류와 특징 > seoulsportal3 | seoulsportal.or.kr report

장단의 종류와 특징 > seoulsport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3

장단의 종류와 특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07:07

본문




Download : 장단의 종류와 특징.hwp





굿거리장단으로 된 민요에는 늴리리야,천안살머기,박연폭포,오봉산타령,자진염불,성주풍이 등이 있따

- 굿거리장단의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









2) 중중모리장단

중중모리장단은 (점4분음표)가 한 박이 되어 느린 4박자가 한 장단을 이룬다.



1) 굿거리장단

굿거리장단은 민요에서 가장 흔히 쓰이는 장단이다.
그러나 장단의 변주는 원칙 없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리듬의 형태에 따라 알맞게 이루어져야 그 음악의 분위기를 살릴 수 있따 예를 들어 음악이 끝나 가는데 장단은 계속 흥겹게 이어지고 있다거나 음악이 고조되어가고 있는데 장단을 맺으려고 한다면 그 음악의 분위기는 깨져버리고 말 것이다. 굿거리보다 좀 느리지만 중중모리로 된 민요는 느린 굿거리장단으로 쳐도 맞는다. 따라서 여기서는 초보자가 리듬의 alteration(변화) 에 따른 장단의 alteration(변화) 를 쉽게 구별할 수 있도록 가장 기본적인 장단의 형태를 제시하였다.
장단의,종류와,특징,기타,레포트
순서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1.gif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2.gif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3.gif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4.gif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5.gif 장단의%20종류와%20특징_hwp_06.gif

● 민요에 쓰이는 장단

민요를 포함한 민속악에 쓰이는 장단은 한 악곡 내에서도 다양한 변주가 가능하다. 서양음악표기로는 ‘12/8’로 한다. 본장단과 중중모리 장단으로 된 민요에는 새타령, 자진농부가, 남원산성, 양유가 등이 있따
- 중중모리장단의 기본 장단과 변형장단













3) 세마치장단

세마…(To be continued )
장단의 종류와 특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 장단의 종류와 특징기타레포트 , 장단의 종류와 특징


Download : 장단의 종류와 특징.hwp( 32 )



장단의 종류와 특징



다. (점4분 음표)가 한 박이 되어 좀 느린 4박자가 한 장단을 이룬다. 따라서 정간보로는 4정간이 한 장단이 된다 서양 음악표기로는 ‘12/8’로 한다. 거의 한 형태의 장단으로 일정하게 끌어나가는 정악과 비교해서 매우 특이한 것이다. 충분히 숙달된 후에는 다양한 변주를 통해 더욱 큰 음악적 느낌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정간보로는 4정간이 한 장단을 이룬다. 정악이 거의 비슷한 리듬 패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반해 민속악은 리듬이 변하면서 다양한 분위기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민속악은 그에 맞는 장단으로 흥을 돋우게 마련이다.





레포트/기타


설명

장단의 종류와 특징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전체 36,7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