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고려의 상업과 화폐 > seoulsportal3 | seoulsportal.or.kr report

고려의 상업과 화폐 > seoulsportal3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3

고려의 상업과 화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9 03:00

본문




Download : 고려의 상업과 화폐.hwp




태조 왕건은 ‘주즙지리’ (舟楫之利) 즉 해상무역의 이익을 강조하며 상업을 장려하였고, 전조후시 (前朝後市)의 원칙 아래 시전(市廛)을 건설하여 도시상업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국가는 관영상점을 개설하여 직접 상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시전은 국가가 지어 상인에게 대여하였으며, 주로 관부와 지배층, 사원과 연결된 상인들이 상업활동을 하였다. 시전은 경시서(京市署)의 감독을 받는 상설상점으로 관부조달상(官府調撻商)의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장(場)은 도시 거주민이 일용품을 매매하는 비상설시장이였다. 이러한 상업과 대외무역의 장려는 신라말기 이래 수로와 해상을 이용하여 발전한 상업에 기초를 둔것이며, 왕건 가문의 무역활동과도 일정하게 관련된 것이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인하여 화폐사용이 일반화하고 유통이 발달하였다. 또한 관영상점을 개설하여 국가가 직접 상업활동에 종사하는 한편 개경의 유암(乳岩)에 유시(油市)를 설치하였다. 개경에는 시전을 설치하여 주로 관부와 지배층이 이용하도록 하였으며, 개경 서경 동경 등 큰 도시에는 관영상점을 두었다.고려의_상업과_화폐 , 고려의 상업과 화폐경영경제레포트 ,

고려 시대의 전기, 후기의 상업의 구조와 화폐발달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설명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1.고려 전기 상업의 구조와 발달
2.고려 전기 대외교역의 전개
3.고려후기 상업의 발전
4.고려후기 대외무역의 발전
5.고려후기 상공업 발달과 사회경제관계의 變化(변화)


1.고려 전기 상업의 구조와 발달
고려는 건국 초기부터 상업을 보호하고 장려하는 정책을 취하였다.
개경에 시전이 처음 설치된 것은 919년(태조 2)이었다.
고려시대에 가장 활발하였던 것은 시전을 중심으로 한 도시상업이었다. 또한 부상(負商) 선상(船商)과 같은 생상이 전국을 다니며 상업을 하였다. 관영상업은 수공업과 결합된 형태로 생산과 판매를 겸하였는데, 개경에 시적점 복두점 대약국 등과 같은 점포를…(省略)



고려의 상업과 화폐

고려의_상업과_화폐
고려 시대의 전기, 후기의 상업의 구조와 화폐발달에 대해서 조사하였습니다.
고려시대의 상업은 수공업과 마찬가지로 도시상업과 지방상업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었다. 지방상업은 지방의 관아 근처에 개설되어 인근의 농민 수공업자 관리 등이 필요한 물품을 교역하는 향시(鄕市)가 중심이었다. 도시는 인구 밀집지역이었을 뿐 아니라 현물로 납부된 조세가 모이는 곳이였으며, 최대 소비자인 관청이 위치하고 외국무역과도 직결되었다.

레포트/경영경제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1.gif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2.gif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3.gif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4.gif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5.gif 고려의%20상업과%20화폐_hwp_06.gif

Download : 고려의 상업과 화폐.hwp( 25 )




다. 도시 상업은 시전과 관영상업, 그리고 장(場)의 두 체계로 발전하였다.
전체 36,7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