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the twenty-first century적 의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0 12:40
본문
Download :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21세기적 의미.hwp
.장보고를 비롯한 재당신라인 첫 번째는 동아지중해의 교역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재당신라인이다.
1. 서언
2. 장보고를 비롯한 재당신라인
3. 발해의 해상활동
4. 8~9세기 해상활동의 21 세기(世紀) 적 의미
1. 서언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의 교역활동은 크게 몇 가지 루트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신라와 당의 교역로가 그 첫 번째이며, 그 첫 번째 루트의 주체가 되는 ‘재당 신라인’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장보고’ 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 나가도록 할 것이며 두 번째로 발해와 왜와의 교역활동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고자 하고, 그 두 가지의 예를 들어볼 때, 현재, 그리고 앞으로 未來(미래)의 눈으로 이 교역 활동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하여 생각해 보도록 하겠다. 그리하여 당 내부에서 …(투비컨티뉴드 )
Download :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21세기적 의미.hwp( 94 )
1. 서언, 2. 장보고를 비롯한 재당신라인, 3. 발해의 해상활동, 4. 8~9세기 해상활동의 21세기적 의미, , , FileSize : 958K , [기타]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21세기적 의미기타레포트 ,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 교역활동 장보고 해상무역
[기타] 남북국시대 동아지중해에서의 교역활동과 the twenty-first century적 의미
순서





설명
남북국시대,동아지중해,교역활동,장보고,해상무역,기타,레포트
1. 서언, 2. 장보고를 비롯한 재당신라인, 3. 발해의 해상활동, 4. 8~9세기 해상활동의 the twenty-first century적 의미, , , reference(자료)크기 : 958K
레포트/기타
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당연히 분쟁보다는 평화가 찾아오는 것은 자명한 일이며, 그리하여 국가간의 교역또한 대단히 활발해 졌다고 할 수 있다 당나라 경제체제의 기반이 되는 물류체제에는 한계가 있었다 생각되는데 서역에서 오는 물건들은 수도인 장안 이상으로는 퍼지지 못하였으며 해양실크로드의 종착역은 광주, 혹은 영파 정도 였다. 동아시아는 -앞서 레포트(report) 를 내기는 하였지만- 교수님이 말하고 계시는 ‘동아시아의 국제대전’의 결과로 ‘당’중심의 일원적인 세계를 재편되게 되었다. 재당 신라인이라 함은 단지 당에 살고 있는 신라인을 뜻하는 것일까? 그 정도로만 보기에는 범주가 너무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이후 유민이 된 고구려나, 백제의 유민들까지도 이 ‘재당신라인’에 포함 시키는 것이 좋을 듯 하다. 그 사람들이 나는 백제인이야! 혹은 고구려인이야! 하는 아이덴디티(ID)를 가지고 있다고 하더라도 당나라 사람들은 그들은 신라인이라고 보고 history(역사) 서등에 기록하였을 것이기 때문일것이다 또한 삼국통일 이후에 신라와 당과의 관계가 전쟁 등으로 그다지 좋지 않았을 때에 활동했던 -제나라를 세운 이정기 같은- 인물 역시도 고구려인이야! 라기보단 좀더 큰 범주의 신라인-중국(中國)의 눈으로 보아 협의의 東夷와 거의 일치되는- 으로 보는 것이 앞으로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는 데에 편하지 않을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