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課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08:46
본문
Download :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hwp
한편 남한에서 특별활동이나 동아리 활동을 한 탈북 학생의 경우 학교생활에 많은 도움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탈북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하는 것은 교사의 說明(설명) 이 어렵고 소극적이라는 점이다. 학습수준이나 학습능력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1~2년 수준을 낮추어 편입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반면 인문 사회과학 계통의 과목, 예컨대 국어, 국사, 문법, 영어 등에서 어려움을 느낀다. 따라서 탈북 학생들은 그들이 편입학 이후 어려움을 겪는 국어, 영어, 컴퓨터, 국사 등에 대한 사전지식이 없고 남한의 교육풍토를 포함하는 사회문화적 풍토에 대한 인식이 없는 상태에서 편입학하게 된다 교육비와 관련된 경제적 측면에서는 탈북 학생들의 부모들이 대부분 무직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등록금은 면제되지만 교복이나 학용품 등에 드는 비용은 가정에서 지출해야 하기 때문에 곤란을 겪고 있다. 셋째, 학습능력과 관련하여 볼 때, 초등학교에 편입학한 대부분의 탈북 학생들은 비교적 잘 適應하는데 비해, 중등학교나 대학에 편입학한 탈북 학생의 경우 학습능력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방적인 說明(설명) 식의 수업에 익숙하기 때문에 발표력이 부족하고,
3. 학습 능력 증진을 위한 제도 改善
1. 초-중등학교 학생의 교육 適應 reality(실태)
1. 초-중등학교 학생의 교육 適應 reality(실태)
[]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課題
하성민(2001). 탈북동포들의 새로운 안식처 ‘고향마을’. 탈북동포와 함께하는 자원봉사자대회 제시나 reference(자료)집.
Download :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hwp( 57 )
한점인정등에관한법률 (2001. 3. 28)
순서
한만길․현주․오기성(1999). 북한 이탈 주민의 남한 교육適應(적응)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 편입학과정이 문제
참고자료(data)





다. 대부분 탈북 학생들은 국어, 영어, 한문에 대한 학습능력이 부족하다.
탈북청소년문제, 북한이탈청소년문제, 탈북청소년교육문제, 탈북자 교육문제, 탈북청소년
4. 교육지원 관련 政府(정부)의 역할
설명
한만길 외(2000). 남북한 학생의 학력수준 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봉사활동의 체계적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민간의 역할 확대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 [참고자료] 하나원(2002). 사회적응교육 프로그램. 하나원. 하성민(2001). 탈북동포들의 새로운 안식처 ‘고향마을’. 탈북동포와 함께하는 자원봉사자대회 제시나 자료집. 한만길 외(2000). 남북한 학생의 학력수준 비교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한만길․현주․오기성(1999). 북한 이탈 주민의 남한 교육적응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점인정등에관한법률 (2001. 3. 28)
6. 담당관제 운영의 재조정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북한이탈 청소년 교육의 과제課題 [참고reference(자료)] 하나원(2002). 사회適應(적응)교육 프로그램. 하나원.
탈북 학생들은 남한 학교생활에서 다음과 같이 適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둘째, 탈북학생들은 이과 과목이나 암기과목들에 대상으로하여는 수월하다고 보고 있다. 다만 보호기간 동안 영어나 한문 또는 해당 학년의 교과서를 참고하는 정도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편입학 이전의 별도의 학습 보충 기회는 대부분 없었다. 첫째, 편입학과정에서 대부분의 탈북 학생들은 학교 단계별로 학력을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