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6 06:55
본문
Download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hwp
다.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에 대한 글입니다.1과제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인문사회레포트 ,
1Task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
순서
1. 로마자 표기법
1) 전자법
2) 전사법 (표음법(表音法))
2. 로마자 표기법의 변천
1) 1930년 ~ 1958년
2) 1959년 ~ 1983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3) 1984년 개정 - 전자법 채택
4) 2000년 7월 개정 - 전사법 채택 (전자법 체계 따로 고시)
3. 이전 표기법의 문제점(問題點)
4. 개정 로마자 표기법의 특징
1) 모음의 표기
2) 자음의 표기
3) 기타 표기 세칙
(1) 음운 變化(변화)의 표기
(2) 인명 표기 방법
(3) 붙임의 용례
5. 생각해볼 점
[첨부 1] 현행 외래어 표기법의 연혁
[첨부 2]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현행 - 전사법)
2) 1959년 ~ 1983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1959년에 당시 문교부는 소리와 관계없이 글자대로 표기하는 「轉字法」(전자법)을 채택하여 formula적으로 MR(매큔-라이샤워 표기법)방식과 함께 두 가지 방식이 혼용되었다.
-2000년 5월 중앙일보 기사
3) 1984년 개정 - 전자법 채택
1984년 政府는 「1988 서울올림픽」을 계기로 하여 수많은 외국손님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고 올…(省略)
Download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hwp( 79 )
전자법과 전사법 어느 것이 유용한가?에 대한 글입니다.
새 표기법을 찬성하는 사람들은 『충북의 청주와 전북의 정주가 같이 「Chongju」로 표기되어 미군이 정주를 폭격할 것을 청주를 폭격하였다』고 하고, 반대론자들은 「독립문」이 「개갈비문」(Dogribmun), 「거북선」이 「지오부그시온」(Geobugseon)이라고 싸우는 웃지 못할 얘기가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