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16:21본문
Download :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hwp
설명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7156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C%84%9C%EC%9A%B8%EC%97%90%20%EB%82%A8%EC%95%84%20%EC%9E%88%EB%8A%94%20%EC%9D%BC%EC%A0%9C%EC%9D%98%20%EC%9E%94%EC%9E%AC-7156_01.gif)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7156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C%84%9C%EC%9A%B8%EC%97%90%20%EB%82%A8%EC%95%84%20%EC%9E%88%EB%8A%94%20%EC%9D%BC%EC%A0%9C%EC%9D%98%20%EC%9E%94%EC%9E%AC-7156_02_.gif)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7156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C%84%9C%EC%9A%B8%EC%97%90%20%EB%82%A8%EC%95%84%20%EC%9E%88%EB%8A%94%20%EC%9D%BC%EC%A0%9C%EC%9D%98%20%EC%9E%94%EC%9E%AC-7156_03_.gif)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7156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C%84%9C%EC%9A%B8%EC%97%90%20%EB%82%A8%EC%95%84%20%EC%9E%88%EB%8A%94%20%EC%9D%BC%EC%A0%9C%EC%9D%98%20%EC%9E%94%EC%9E%AC-7156_04_.gif)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7156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0708/%5B%EB%AC%B8%ED%99%94%EC%97%B0%EA%B5%AC%EB%A1%A0%5D%20%EC%84%9C%EC%9A%B8%EC%97%90%20%EB%82%A8%EC%95%84%20%EC%9E%88%EB%8A%94%20%EC%9D%BC%EC%A0%9C%EC%9D%98%20%EC%9E%94%EC%9E%AC-7156_05_.gif)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주제 선정을 위하여 모임을 하기로 한 날, 우리는 수업 시간에석굴암에 관한 비디오 자료를 보았다. 그 신비스럽고 과학적인 한국의 대표적인 文化(culture) 유산을 보고 나서 우리도 그런 文化(culture) 유산을 답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우리는 여기에 주목하면서 주제를 잡아 나갔다.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Download :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hwp( 96 )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우리가 찾아보고자 한 것은 가까운 곳에서 쉽게 접할 수 있으면서도 그 것(곳)에서 일제의 잔재를 느끼지 못하는 부분이었다. 고쳐진 부분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일제의 잔재라고 부를 수 있는 부분이 아직까지 우리에게 많이 남아 있으며 우리가 잘 모르고 있는, 있는 지조차 모르고 있는 곳에 숨어 있음을 생각해 보았다.
순서
다. 이 주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explanation)해 보면 서울에서 우리들이 잘 알고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곳이 좀 더 들여다보면 일제의 잔재가 숨어 있는 부분이라는 사실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文化(culture) 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덕수궁, 정동교회, 중명전, 구러시아 공사관, 손탁호텔 터, 경희궁, 부민관(서울시의회), 서울 시청, 조선호텔
(이 순서는 덕수궁을 출발로 정동 일대를 크게 한 바퀴 도는 것이다)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1. 주제 선정 절차
․답사지 선정
[문화연구론]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
자료 조사를 하면서 옛 기록이나 사진, 책들을 찾으면서 답사해야 할 장소들을 선정해 나갔다. 우리도 잘 모르고 있는 부분을 찾아내야 했던 것이기에 힘든 면이 많았는데 각종 자료(인터넷, 통신 등)를 검토한 끝에 결정한 장소는 덕수궁을 중심으로 한 정동 일대의 지역이었다. 그래서 나온 주제가 서울에 남아 있는 일제의 잔재이다. 그런데 이런 저런 의견이 오가는 중, 문득 우리가 본 비디오에서도 모두 공감한 내용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구체적인 답사 장소는 다음과 같다. 그것은 바로 文化(culture) 유산 속에 남아 있는 日本(일본)(일제)의 모습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