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new]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 / 우리말 > seoulsportal2 | seoulsportal.or.kr report

[new]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 / 우리말 > seoulsportal2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2

[new]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 / 우리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6 08:10

본문




Download :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hwp




알타이언어학 서설 (1965)에서는 한국어의 계통이 분명치 않다고 전제하고 3가지 기능성을 제시하면서 한국어가 알타이제어와 친근관계가 있음을 논하였다. 포페는 19...

Download :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hwp( 31 )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 / 우리말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순서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다.1) 그들은 일찍이 인도 유럽어족설을 구체적으로 증명하여 같은 계통의 언어라는 학설을 확립하고 같은 맥락에서 우랄-알타이어족설을 내세우면서 어휘비교를 통하여 계통적 관계를 증명하려고 하였다.설명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1150_01.gif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1150_02_.gif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1150_03_.gif list_blank_.png list_blank_.png

인문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 및 근거 / 우리말




우리말을 알타이제어에 포함시키는 주장의 찬반 견해에 대한 근거는 무엇인가 요약 유럽의 역사(歷史)비교 언어학자들은 19세기 이래 우랄-알타이어족설에서 빈번히 언급되던 ‘공통특질론’과 같이, 장모음과 단모음의 대립, 강세와 억양, 모음조화와 자음조화, 단어 내적 음운변이와 같은 알타이어족 공통 특질을 제시하였다. 람스테트의 알타이어족 설정에 관한 태도는 포페에 의하여 강조되었다. 람스테트의 ‘한국어 어원연구’ 서평에서 람스테트가 제시한 오류를 정정하고 다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반알타이어족설을 주장한 학자들은 알타이제어는 기초 어휘인 신체지칭어나 친족 명칭어가 유사한 것이 거의 없고, 기초 어휘로서 대명사 일부가 유사하고 수사가 거의 다르며, 음운 대응의 규칙성이 정확하지 못하고 믿을 만한 것이 부족하고, 알타이제어의 언어 구조는 매우 유사하지만 차용어를 제외하면 공통된 요소가 매우 적고, 문법 요소의 일부 유사성으로는 알타이제어의 친근성을 증명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문법적 요소도 차용될 수 있고, 역사(歷史)적으로 밀접한 접촉을 가졌고 서로 강력한 effect력을 끼친 결과 언어 구조가 유사해졌고 차용어로 인하여 공통요소가 생겼다는 이유를 근거로 들고 있다 과제(problem) 내용 한국어의 계통 문제는 유럽의 역사(歷史)비교언어학자들에 의하여 19세기 말엽에 제기되었다. 우랄-알타이제어를 우랄과 알타이 양개 어족으로 분리할 것을 주장하고, 알타이어족으로 분류된 몽고, 튀르크, 만주-퉁구스제어의 본격적인 비교 연구를 처음으로 수행한 사람은 1900년대부터 논문을 발표하기 처음 한 핀란드 학자 람스테트이다.
전체 36,900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