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보안 을 통해서 본 조선전기의 조류관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11-29 22:03
본문
Download : 역대보안 을 통해서 본 조선전기의 조류관계.hwp
그 후 여러 곳의 왜인들이 막대한 이득을 얻기 원하여 반드시 유구의 국서를 가지고 그 나라 사신이라고 하며 조선에 찾아드는데 설령 그들이 그 나라 사신이라 하여도 일일이 …(To be continued )
Download : 역대보안 을 통해서 본 조선전기의 조류관계.hwp( 17 )
,경영경제,레포트
설명
역대보안 을 통해서 본 조선전기의 조류관계
{역대보안}을통해서본조선전기의조류관계






{역대보안}을통해서본조선전기의조류관계 , 역대보안 을 통해서 본 조선전기의 조류관계경영경제레포트 ,
레포트/경영경제
순서
다. 물론 그 진귀남양물산이 유구국왕부에서 조선으로 부송하는 조공물이었는지, 또는 그들이 유구국왕사를 가장하기 위해 그들 자신이 조달 탑재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그들이 조선으로 재래한 물자가 남양물산이었던 점에서 유구를 거쳐 내항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앞서 성종 23년(1492)에 그 전 년에 이어 두번째로 내조한 야차랑이 진정 유구사신이냐의 문제가 제기되었고, 위사인줄 알면서도 후한 사여함은 국가 경제에 손상되는 일이라는 논란이 있었던 사실은 이미 위에서 살핀 바다. 야차랑이 귀국한 후인 24년 윤오월에 성건은,
유구국이 처음 사신을 보내왔을 때 우리나라가 그들이 의를 사모하여 먼 곳에서 찾아 왔기에 특별히 그들을 후대하였다.
Ⅰ. 서 언 1
Ⅱ. 유구왕국의 외교문서집성 『역대보안』 2
Ⅲ. 조선초기 세종대의 조·유 관계 5
Ⅳ. 세조대의 조·유관계 10
Ⅴ. 성종대의 조·유관계 20
Ⅵ. 조·유 직접교린의 단절 29
Ⅶ. 조·유관계와 『대장경』 33
Ⅷ. 결 어 37
Ⅵ. 조·유 직접교린의 단절
성종 대에 유구국의 사신을 칭하며 조선왕국으로 찾아든 사신의 대부분이 유구와 조선을 왕래하면서 중계무역적인 상리를 노리는 한편 사여품을 취하기 위한 왜상배였으며 위사였음은 위에서 살핀 바와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