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사회] 자연변증법 비판 /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3 09:50본문
Download : 자연변증법 비판.hwp
그러나 모순을 사물이나 현상에 적용하는 것은 잘못이며, 이는 학문에 큰 혼란을 초래한다. 자연변증법론자들은 존재론에 있어서는 물질주의자3)들로서, 물질과 정신 중에 물질이 일차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보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아4) 이들은, 헤겔과 포이어바흐 (L. Feuerbach)의 양 입장으로부터 부분적인 취사선택을 통해 자신들의 입장을 만들었는데, 헤겔로부터는 관념주의를 버리고 변증법이...
순서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봄 자연변증법...
[인문사회] 자연변증법 비판 /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봄 자연변증법...





Download : 자연변증법 비판.hwp( 52 )
설명
인문사회 자연변증법 비판 /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다. 사물이나 현상은 그냥 그대로 존재하거나, 아니면 다른 것으로 변화할 뿐이며 그 속에는 아무런 모순도 없다. 자연변증법론자들은 모순에는 논리적 모순 외에 변증법적 모순도 존재하며, 전자는 인간의 사유 내지는 언어에 존재하는 것이요, 후자는 자연과 사회에 존재하는 모순이라고 주장한다.
범 한 철 학 회 논 문 집 『범한철학』제28집 2003년 봄 자연변증법 비판 F. Engels의 자연변증법 과 반뒤링론 을 중심으로 【주제분류】서양근대철학, 형이상학 【주 요 어】엥겔스, 자연변증법, 모순, 부정, 논리학 【요 약 문】 자연변증법이란, 자연이 변증법적으로 변화·발전한다고 하는 주장이다.백 훈 승 1) . 들어가는 말 ‘자연변증법’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자연2)이 변증법적으로 변화한다는 주장이다. 자연변증법론자들은, 단지 갈등이나 대립 혹은 drawback(걸점)이라고 말하면 될 것을, 모순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을 호도한다. 필자는 자연변증법론자의 대표자인 엥겔스 (Friedrich Engels)의 자연변증법 및 반뒤링론 을 중심으로 하여 그의 모순관, 변증법관, 발전 및 변화에 관한 견해를 비판하는 동시에, 그가 제시하고 있는 세 가지의 법칙들, 즉 ‘양의 질에로의 변화 및 그 역의 법칙’, ‘대립의 침투법칙’ 그리고 ‘부定義(정이) 부정법칙’이 지니고 있는 drawback(걸점)들을 밝힘으로써, 자연에는 변증법이 존재할 수 없으며 변증법이란, 인간이 어떤 사태를 좀 더 잘 파악하기 위한 사유의 방법일 뿐이라는 주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