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9:37본문
Download :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hwp
이 값은 1865년 오스트리아의 로슈미트가 처음으로 결정했으며, 한때 아보가드로수를 로슈미트수라고 한 일도 있으나, 지금은 국제적으로 아보가드로수라 하고, 표준상태 1mol의 기체 속에 존재하는 분자의 수 N/22400을 로슈미트수라 하여 구별하고 있다아





* 아보가드로의 수를 구하는 방법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아보가드로수
기호는 mol, M 또는 mole로 표시한다.
레포트 > 자연과학계열
순서
설명
3)결정(예컨대, 다이아몬드)의 단위격자를 X선 회절법을 사용하여 정확히 결정한 다음, 그 속의 원자수를 구하는 방법 : X선 회절을 이용하여 단결정의(定義) 단위격자의 격자상수를 결정하고 그 격자 내에 포함되는 원자 또는 분자수에서 구한다. 아보가드로수는 보통 N으로 표시하며, N=6.02×1023이다.
으로 표시한다. 수소분자의 경우에도 개수는 같고 질량은 2.016g이다. 따라서 완전한 결정에 대한 밀도는 다음과 같다. 2)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을 이용한 기본전하량의 결정 및 전기분해로부터 얻은 패러데이상수를 함께 써서 구하는 방법 : 대전된 기름 방울의 미량입자를 낙하시켜 그 속도에서 전기소량 e를 구하고 (밀리컨의 기름방울 실험), 이것과 패러데이 상수 F의 관계에서 구한다. 이에 해당하는 6.02×1023 물질 입자(원자·분자·자유라디칼·이온·전자)를 포함하는 물질의 집단(또는 그 집단의 질량 또는 전하)을 1몰로 definition 한다. 예를 들면, 수소원자 1몰에 포함된 수소원자의 개수는 6.02×1023 이며 질량은 근사적으로 1.008g이다.
다.
아보가드로수를 얻는 방법은 라듐의 α붕괴에 의한 헬륨 생성량을 측정하여 구하는 방법, 밀리컨의 기름방울실험을 이용한 기본전하량의 결정 및 전기분해로부터 얻은 패러데이상수를 함께 써서 구하는 방법, 결정(예컨대 다이아몬드)의 단위격자를 X선해석에 의해 정확히 결정한 다음, 그 속의 원자수를 구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정밀도가 높다. 1몰은 원자량의 기준에 따라 탄소의 질량수 12인 동위원소 12C의 12g 중에 포함되는 원자의 수, 즉 아보가드로수와 같다.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
1)라듐의 α붕괴에 의한 헬륨 생성량을 측정하여 구하는 방법 : 라듐의 알파 입자(헬륨의 이온)의 방출속도 n과, 일정시간 t초에 얻는 헬륨의 생성량m(g) 사이에서 구한다. 이에 해당하는 6.02×1023 물질 입자(원자·분자·자유라디칼·이온·전자)를 포함하는 물질의 집단(또는 그 집단의 질량 또는 전하)을 1몰로 정의한다. 결정의(定義) 밀도, 원자량 및 단위격자의 길이로부터 아보가드로 상수NA를 계산할 수 있다아 X선이 반사된 각도로부터 Bragg식을 사용하여 단위격자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아 단위격자 부피와 결정의(定義) 밀도 사이에는 단순한 관계가 있다아 단위격자에 들어있는 질량은 n M/NA 이며, 여기서 n은 몰 질량이 M인 분자들이 단위 격자 내에 들어있는 수이다.
기호는 mol, M 또는 mole로 표시한다. 1몰은 원자량의 기준에 따라 탄소의 질량수 12인 동위원소 12C의 12g 중에 포함되는 원자의 수, 즉 아보가드로수와 같다. 수소분자의 경우에도 개수는 같고 질량은 2.016g이다.)
처음에는 기체에 관한 아보가드로의 법칙으로부터 결정되었으나, 분자뿐만 아니라 이온·원자 등으로 되어 있는 모든 물질(고체 및 액체도 포함한다)에 대해 적용할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식은 F=e NA가 된다
식은 m = M n t / NA 가 된다 (M은 헬륨의 원자량)
밀도= n M /NA V (V는 단위격자의 부피이다.
Download : 아보가드로 수의 결정.hwp( 51 )
예를 들면, 수소원자 1몰에 포함된 수소원자의 개수는 6.02×1023 이며 질량은 근사적으로 1.008g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