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sportal.or.kr 심장의 전도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 seoulsportal1 | seoulsportal.or.kr report

심장의 전도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 seoulsportal1

본문 바로가기

뒤로가기 seoulsportal1

심장의 전도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7 05:59

본문




Download : 병리학.hwp





   ▶ 모 대학병원 심장센터로….

   ▶ 심근경색증 환자의 생활수칙
  3) 방실속(Atrioventricular bundle)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1. 심장의 전도계
3. 참고한 문헌
   ▶ 심근경색증이란?

Download : 병리학.hwp( 14 )


   ▶ 심근경색증의 합병증

   ▶ 협심증의 병태생리

심장전도계 , 관상동맥 , 심근경색 , 동방결절 , 전도능력 , 병리학



1)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 심근경색증의 진단
순서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 S-A node)은 우심방의 상부인 상대정맥의 개구부 밑에 위치하며 크기는 5×20mm 정도의 결절이다.
   ▶ 심근경색증의 Cause

병리학-4886_01.gif 병리학-4886_02_.gif 병리학-4886_03_.gif 병리학-4886_04_.gif 병리학-4886_05_.gif

집단이며, 활동전압에 의한 심방수축 후 전달되는 흥분을 방실속(A-V bundle)으로 전달하는 결절이다. 동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 자극은 전·중·후 결절간 경로(anterior, middle, posterior tract)를 통해 방실결절로 전도되지만 이들의 해부학적 존재는 확실치 않다. 또한 동방결절은 주기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켜 심장박동을 일으키므로 이 부분을 심박동의 향도잡이(박동원 : pacemaker)라고도 한다.
   ▶ 협심증의 분류
심장의 전도계, 관상동맥질환, 심근경색




   ▶ 협심증이란?
  1) 협심증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 치료방법
레포트 > 의학계열
   ▶ 어떻게 확인하나?
1. 심장의 전도계
1. 심장의 전도계  개구리의 심장을 밖으로 들어내어도 규칙적이고 일정한 박동수를 되풀이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심장이 자기 스스로 박동할 수 있는 능력을 자동능(automatism)이라고 한다. 동방결절에서 형성된 전기 자극은 전·중·후 결절간 경로(anterior, middle, posterior tract)를 통해 방실결절로 전도되지만 이들의 해부학적 존재는 확실치 않다. 2)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 A-V node)은 우심방의 관상정맥동구 앞에 있는 특수 심근조직의 집단이며, 활동전압에 의한 심방수축 후 전달되는 흥분을 방실속(A-V bundle)으로 전달하는 결절이다. 전기자극이 물결 모양으로 방실결절에 전달되면 좌·우심방이 수축하고 이때의 흥분상태는 심전도 상에서 P파로 나타난다.    ▶ 세계에서 최고?

설명
   ▶ 협심증의 증상
  4) 푸르키녜섬유(Purkinje fiber)

 개구리의 심장을 밖으로 들어내어도 규칙적이고 일정한 박동수를 되풀이 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심장이 자기 스스로 박동할 수 있는 능력을 자동능(automatism)이라고 한다. 전기자극이 물결 모양으로 방실결절에 전달되면 좌·우심방이 수축하고 이때의 흥분상태는 심전도 상에서 P파로 나타난다. 전도계 중 동방결절이 자극형성 속도가 가장 빨라 정상인에서 심박동을 조율하며 동방결절 이외의 부위는 잠재성 심박조절자로서 동방결절이 기능을 잃을 경우에 심장박동을 조율하게 된다된다. 1)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 S-A node)은 우심방의 상부인 상대정맥의 개구부 밑에 위치하며 크기는 5×20mm 정도의 결절이다.
   ▶ 이른 아침 불청객


   ▶ 심근경색증의 증상
   ▶ 불안정 협심증이란?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 A-V node)은 우심방의 관상정맥동구 앞에 있는 특수 심근조직의


  1)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 심근경색증의 관리
2. 관상동맥질환


  2) 심근경색
   ▶ 심근경색증의 병태생리

다. 고유의 전기적 자극 형성 속도는 동방결절이 60∼100회/분, 심방벽이 70∼75회/분, 방실 연접부가 40∼60회/분, 심실벽은 30∼40회/분이다. 따라서 사람의 심장도 심장근의 수축능력과 자극을 전달하는 전도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처럼 전도능력을 가진 특수한 심장근육의 자극전도계는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방실속(Atrioventricular bundle) 및 푸르키녜섬유(Purkinje fiber)등으로 구성된다된다. 또한 동방결절은 주기적으로 전기적 자극을 발생시켜 심장박동을 일으키므로 이 부분을 심박동의 향도잡이(박동원 : pacemaker)라고도 한다. 전도계 중 동방결절이 자극형성 속도가 가장 빨라 정상인에서 심박동을 조율하며 동방결절 이외의 부위는 잠재성 심박조절자로서 동방결절이 기능을 잃을 경우에 심장박동을 조율하게 된다. 고유의 전기적 자극 형성 속도는 동방결절이 60∼100회/분, 심방벽이 70∼75회/분, 방실 연접부가 40∼60회/분, 심실벽은 30∼40회/분이다. 따라서 사람의 심장도 심장근의 수축능력과 자극을 전달하는 전도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이처럼 전도능력을 가진 특수한 심장근육의 자극전도계는 동방결절(Sinoartrial node),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방실속(Atrioventricular bundle) 및 푸르키녜섬유(Purkinje fiber)등으로 구성된다.
전체 36,717건 1 페이지
해당자료의 저작권은 각 업로더에게 있습니다.

evga.co.kr 은 통신판매중개자이며 통신판매의 당사자가 아닙니다.
따라서 상품·거래정보 및 거래에 대하여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Copyright © seoulsportal.or.kr.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