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0 03:22본문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hwp
그러나 당사자의 이익을 주안으로 한 소송요건(예, 임의관할, 중재계약, 소송비용의 담보제공 등)은 당사자의 주장을 기다려 조사하여야 한다. 독일의 판례도 이를 긍정하고 있다 그러나 소송요건의 존부는 실체법상의 요건에 못지 않게 중요하기 때문에 엄격을 증명을 요하여야 한다는 견해도 있다 …(省略)



순서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레포트/법학행정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법학행정레포트 ,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Download :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hwp( 55 )
민사소송법상,소송요건의,조사,법학행정,레포트
다.
2. 조사의 資料蒐集
① 소송요건의 존부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data)의 수집을 누가 하여야 하는가에 따라 소송요건 사이에도 약간의 차이가 있다 법원이 직권으로 자료(data)를 수집하여 소송요건의 존부를 판단하여야 하는 직권탐지형의 소송요건(예, 재판권의 유무, 전속관할, 기판력의 존부, 당사자의 실재, 당사자능력, 소송능력, 대리권의 존부 등)과 당사자가 제출한 자료(data)에 의존하여 그 존부를 판단하는 변론주의형의 소송요건(예, 권리보호의 자격과 이익, 당사자적격, 임의관할, 중재계약 및 소송비용의 담보제공 등의 방소항변 등)이 있다 양자를 구별하는 기준은 각 소송요건이 가지는 공익성의 강도에 따라 정하여 진다. 공익성이 강한 경우에는 직권탐지형 소송요건이라고 보아야 하고, 그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변론주의형 소송요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런데 직권조사사항은 자유로운 증명에 의하여 할 수 있다는 것이 다수설의 견해이다.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설명
민사소송법상 소송요건의 조사
1. 조사의 개시
소송요건의 대부분은 분쟁의 합리적?efficacy적 해결을 위한 공익적 요청상 인정되는 것이므로 원칙적으로 법원의 직권으로 조사하여야 한다.
3. 조사의 절차와 입증책임
소송요건은 대부분이 직권조사사항이다.
② 소송요건 중 증거자료(data)의 수집 형태에 따른 분류를 위 ①과 같이 2가지로 분류하는 것이 통설적인 견해이나, 위와 같은 형태 외에 당사자가 제출한 사실?증거에 한하되 당사자간의 자백에 구속되지 않는 제3의 형(직권심사?직권조사)을 인정하자는 새로운 주장이 있고, 이에는 소의 이익(종래의 경우 변론주의), 전속관할 및 소송 중의 소제기의 요건(종래 직권탐지형)이 이에 해당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