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 리움 미술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09:46
본문
Download :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pptx
여래상의 얼굴은 상투모양의 육계(肉髻)가 낮게 솟은 민머리에 두 눈은 살짝 감은 채 입술은 다물고 있다. 이 불상은 여래상과 대좌가 함께 구성된 통일신라 8세기의 금동여래입상으로, 우수한 제작기술을 바탕으로 균형과 조화가 잘 어우러진 통일신라 전성기의 미감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금동 관음보살 입상 [통일신라8세기]]
[금동 여래 입상 [통일신라8세기] ]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 리움 미술관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pptx( 24 )
설명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6656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704/%5B%ED%95%9C%EA%B5%AD%EC%9D%98%20%EB%AF%B8%5D%20%EB%B0%95%EB%AC%BC%EA%B4%80%20%EA%B4%80%EB%9E%8C%EA%B8%B0%20-%20%EC%82%BC%EC%84%B1-6656_01.jpg)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6656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704/%5B%ED%95%9C%EA%B5%AD%EC%9D%98%20%EB%AF%B8%5D%20%EB%B0%95%EB%AC%BC%EA%B4%80%20%EA%B4%80%EB%9E%8C%EA%B8%B0%20-%20%EC%82%BC%EC%84%B1-6656_02_.jpg)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6656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704/%5B%ED%95%9C%EA%B5%AD%EC%9D%98%20%EB%AF%B8%5D%20%EB%B0%95%EB%AC%BC%EA%B4%80%20%EA%B4%80%EB%9E%8C%EA%B8%B0%20-%20%EC%82%BC%EC%84%B1-6656_03_.jpg)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6656_04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704/%5B%ED%95%9C%EA%B5%AD%EC%9D%98%20%EB%AF%B8%5D%20%EB%B0%95%EB%AC%BC%EA%B4%80%20%EA%B4%80%EB%9E%8C%EA%B8%B0%20-%20%EC%82%BC%EC%84%B1-6656_04_.jpg)
![[한국의 미] 박물관 관람기 - 삼성-6656_05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704/%5B%ED%95%9C%EA%B5%AD%EC%9D%98%20%EB%AF%B8%5D%20%EB%B0%95%EB%AC%BC%EA%B4%80%20%EA%B4%80%EB%9E%8C%EA%B8%B0%20-%20%EC%82%BC%EC%84%B1-6656_05_.jpg)
다. 잘록한 허리와 유연한 옷주름, 사실적 신체 묘사, 몸매에 따라 조화된 영락(瓔珞)과 천의(天衣) 등이 적절하게 어울려 세련된 맛을 더해주고 있다. 머리에는 화불(化佛)이 안치된 삼면관(三面冠)을 썼고,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이 상이 관음보살임을 알려준다.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은 여성의 모습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적절한 양감의 표현과 더불어 완벽한 삼굴(三屈) 자세를 취한 이 상은 한층 성숙한 여성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한국의미,박물관 관람기,삼성 리움 미술관,리움,미술관
[금동 관음보살 입상 [통일신라8세기]]
[금동 여래 입상 [통일신라8세기] ]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은 여성의 모습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적절한 양감의 표현과 더불어 완벽한 삼굴(三屈) 자세를 취한 이 상은 한층 성숙한 여성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 머리에는 화불(化佛)이 안치된 삼면관(三面冠)을 썼고,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이 상이 관음보살임을 알려준다. 여래상의 대좌는 따로 주조하여 나중에 결합한 것으로 추정되는데, 연꽃을 도드라지게 조각함으로써 입체감을 살리고 있다. [금동 관음보살 입상 [통일신라8세기]]
순서
자비의 상징인 관음보살은 여성의 모습을 띠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적절한 양감의 표현과 더불어 완벽한 삼굴(三屈) 자세를 취한 이 상은 한층 성숙한 여성의 이미지를 잘 나타내고 있다아 머리에는 화불(化佛)이 안치된 삼면관(三面冠)을 썼고, 왼손에는 정병(淨甁)을 들고 있어, 이 상이 관음보살임을 알려준다. 육감적이고 사실적인 신라 8세기 중엽의 걸작이다. 육감적이고 사실적인 신라 8세기 중엽의 걸작이다. 잘록한 허리와 유연한 옷주름, 사실적 신체 묘사, 몸매에 따라 조화된 영락(瓔珞)과 천의(天衣) 등이 적절하게 어울려 세련된 맛을 더해주고 있다아 육감적이고 사실적인 신라 8세기 중엽의 걸작이다. 수인(手印)은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고, 소원을 들어준다는 시무외여Cause 을 하고 있는데, 여래상의 온화한 미소와 잘 어우러지고 있다. 잘록한 허리와 유연한 옷주름, 사실적 신체 묘사, 몸매에 따라 조화된 영락(瓔珞)과 천의(天衣) 등이 적절하게 어울려 세련된 맛을 더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