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2 14:00본문
Download :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hwp
노동자측입장에서본직장폐쇄 ,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경영경제레포트 ,
설명
노동자측입장에서본직장폐쇄
레포트/경영경제
Download :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hwp( 28 )
제 1장 직장폐쇄의 일반론
Ⅰ. 직장폐쇄의 concept(개념)
1. 의의
2. concept(개념)요소
(1)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대항행위
(2) 일시적 조치
(3) 사용자에 의한 노무 수령 거부
(4) 임금지급의 면제
Ⅱ. 직장폐쇄와 다름 concept(개념)과의 구별
1. 직장폐쇄와 휴업
2. 직장폐쇄와 출근정지
3. 직장폐쇄와 보충근로의 약속
Ⅲ. 직장폐쇄의 歷史(역사)적 배경
1. 미국
2. 영국
3. 프랑스
4. 독일
Ⅳ. 직장폐쇄의 유형
1. 전면적 직장폐쇄와 부분적 직장폐쇄
2. 공격적 직장폐쇄와 방어적 직장폐쇄
3. 자구적 직장폐쇄와 동정직장폐쇄
4. 노동법상 직장폐쇄와 정치적직장폐쇄
5. 법상 직장폐쇄와 사실적 직장폐쇄
6. 쟁의를 위한 직장폐쇄와 시위를 위한 직장폐쇄
Ⅴ. 직장폐쇄의 법적근거와 요건
1. 직장폐쇄의 법적근거
2. 시민(Citizen)법적 입장
3. 노동법적 입장
(1) 소유권설
(2) 헌법질서설
(3) 노사대등형평설
(4) 노동자쟁의권의 반면으로 보는 설
(5) 소결
Ⅵ. 직장폐쇄의 성립요건
1. 서
2. 실질적 요건
(1) 노동조합의 쟁의행위가 있을 것
(2) 방어적. 수동적으로 행해질 것
(3) 노동조합에 대한 통지여부
3. 형식적 요건
Ⅶ. 직장폐쇄의 정당성 요건
1. 서론
2. 선제적. 공격적 직장폐쇄설
3. 수동적. 방어적 직장폐쇄설
4. 結論
Ⅷ. 판례에 의한 정당성의 판단기준
1. 비례성의 원칙
2. 상당성의 원칙
3. 정당성의 원칙
Ⅸ. 직장폐쇄의 법적효율
1. 서
2. 적법한 직장폐쇄의 효율
(1) 노무제공의무와 임금지급의무의 정지
(2) 보안작업의 계속
(3) 사업장의 출입금지와 사업장에서의 퇴거요구
(4) 부당노동행위성의 부정
3. 위법한 직장폐쇄의 효율
(1) 노무제공의무와 임금지급의무와 계속
(2) 노동자를 취업시킬 의무와 취업청구권
4. 사실상 직장폐쇄의 효율
제 2장 example(사례) 를 중심으로 살펴본 직장폐쇄
Ⅰ. 비조합원을 제외하고 조합원만을 대상으로 하는 직장폐쇄의 문제
1. 문제의 제기
2. 대전지법 1994. 2. 9 선고, 93가합 566판례
3. 독일의 경우
4. 소결
Ⅱ. 불법파업에 대한 직장폐쇄의 가능여부
1. 문제의 소재
2. 위법한 파업에 대한 직장폐쇄의 인정여부에 대한 학설
3. 불법파업에 대해 단행된 직장폐쇄의 법적효율
4. 結論
Ⅲ. 직장폐쇄 중의 조업
1. 문제의 소재
2. 갑의 조업의 정당성
(1) 논점
(2) 비교법적 고찰
(3) 우리나라에서의 논의
(4) 문제해결
3. 을의 추가고용의 정당성
(1) 논점
(2) 쟁의 행위 중 추가고용의 reality(실태)
(3) example(사례) 해결
4. 결어
Ⅳ. 사용자의 임금지급의무 면제 가능성 여부
1. 일반적 논의
(1)시민(Citizen)법적 방법론
(2) 노동법적 방법론
(3) 소결
2. 조합원으로서 쟁의행위에 참여한 경우 임금지급문제
(1) 정당한 직장폐쇄의 경우
(2) 부당한 직장폐쇄의 경우
3. 조합원으로서 쟁의행위에 참여하지 않은 경우 임금지급 문제
(1) 직장폐쇄 중에도 노무를 제공한 경우 (ⅰ의 경우)
(2) 직장폐쇄로 인하여 노무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ⅱ의 경우)
4. 비조합원의 임금지급문
(1) 직장폐쇄 중에도 노무를 제공한 경우(ⅰ의 경우)
(2) 직장폐쇄로 인하여 노무를 제공하지 못한 경우(ⅱ의 경우)
V. 직장 점거의 문제
1. 문제의 제기
2. 판례 및 학설
(1) 판례
(2) 학설
3. 문제의 해결
4. 結論
제 3 장 마치는 글
제 1 장 직장폐쇄 일반론
Ⅰ. 직장폐쇄의 concept(개념)
1. 의의
직장폐쇄는 노동자의 쟁의행위와 관련하여 행해지는 사용자의 조치라고 볼 수 있지만, 그것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concept(개념)이 되는지에 관련되어는 opinion이 다양하다. 이렇게 concept(개념)이 다양하게 定義(정이)되는 이유는 우리나라는 직장폐쇄의 concept(개념)에 관련되어 명문의 규정이 없기 때문이며, 따라서 그것은 해석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사업장으로부터의 근로자의 축출”이라고 하거나, “노무의 수령을 집단적으로 거부하는 행위”라고 定義(정이)하기도 하고, “근로자를 일시 집단적으로 사업장으로부터 축출하고 그 노동의 제공을 거절하는 행위”라고 두 가지 요소를 함께 고려하기도 하는데 이렇게 定義(정이)하는 방식이 가장 많다.
2. concept(개념)요소
(1)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대항행위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대항행위는 직장폐쇄 뿐만이 아니라 쟁의 중 조업을 계속 하는 것, 구두나 문서에 의한 선전활동, …(투비컨티뉴드 )
순서
,경영경제,레포트
다.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직장폐쇄는 근로자의 쟁의행위의 존재를 전제하고 임금지불의무를 면하기 위해 집단적인 노무수령거부를 하는 사용자의 쟁의행위이다. 즉, 직장폐쇄를 하게 되면 근로자들이 임금 상실의 고통을 당하게 되고,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임금지급의무가 면제 되게 되는데 이것이 직장폐쇄의 point요소인 것이다. 이것은 마치 파업에서 근로자가 노무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채무불이행이 되지 않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사용자는 원래 근로자와의 근로계약에 의해 노무를 수령하고 임금을 지급할 의무를 지게 되어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은 채무불이행에 해당하게 되는데, 직장폐쇄의 경우에는 채무불이행이 되지 않고 임금을 지급하지 않는 것이 정당해지는데 그 의의가 있는 것이다.
직장폐쇄 concept(개념)을 定義(정이)하기 위해서는 우선 ‘임금의 상실’이 point이 될 것이다.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
노동자 측 입장에서 바라본 직장폐쇄의 문제에 대한 자료입니다. 이러한 concept(개념)定義(정이)에서 직장폐쇄의 concept(개념)요소를 도출할 수 있다
즉, ⅰ) 근로자의 쟁의행위에 대한 사용자의 대항행위, ⅱ) 일시적 조치 ⅲ) 사용자에 의한 노무수령거부 ⅳ) 임금지급의무 면제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