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정주의적 전통과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8 02:32
본문
Download : 수정주의적 전통과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hwp
비판적 접근의 의미를 이와 같이 파악할때, 수정주의라는 槪念은 theory(이론)적 방법론적 측면에 있어서 사회과학적 방법을 수용하거나 종래와는 다…(省略)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critic222
수정주의적 전통과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
Download : 수정주의적 전통과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hwp( 60 )
레포트/인문사회






critic222 , 수정주의적 전통과 한국의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하지만 커뮤니케이션연구에 있어서 비판이라는 용어는 이보다는 훨씬 광범위한 뜻에서 사용되고 있따 실제로 커뮤니케이션연구에 있어서는 진보적 정치노선과는 무관해 보이는 다양한 방법론적, theory(이론)적 입장을 가진 흐름들이 다분히 정치적 냄새를 가지는 비판적 연구라는 명칭하에 포괄되고 있기 때문에, 비판이라는 槪念의 話用적 의미(pragmatic meaning)는 상당히 넓다고 할 수 있따 가령 양승목은 경험주의적 연구에 대비되는 다양한 연구들을 묶어서 “비판주의”로 definition 하고 있는데 (양승목, 1989), 이러한 definition 는 맑스주의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의미와는 엄청난 거리가 있따 양승목의 槪念 definition 에 따를 때, 비판적 연구의 의미는 주로 증거, 경험, 논리적 타당성 등, theory(이론)적 방법론적 차원에 있어서의 차이를 말하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 연구에 있어서 양자는 반드시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글에서는 수정주의를 크게 두 가지 차원, 즉 theory(이론)적 측면에서의 변화와 실천적 함의에 있어서의 변화로 구분해서 검토하고자 한다. 즉 비판적 연구의 관용적인 의미는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따 즉 하나는 전통적인 경험적 연구와 비교해서 연구방법과 theory(이론)의 다양성을 의미하는 것이고, 또 하나는 다원주의적 입장에 비해 상당히 급진적인 정치적 함의 내지는 문제의식을 내포하고 있는 연구들을 뜻한다.
설명
그러나 커란은 이와 동시에 양자간의 theory(이론)적, 방법론적 차이의 차원--가령 “미시적”, “계량적”, “체제순기능적” 연구와 “거시적”, “질적”, “갈등지향적” 연구간의 차이--에서도 수렴이 일어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보아, 커란의 수정주의는 정치적 노선에 있어서의 수정일 뿐 아니라 theory(이론)적 차원에서도 정통적인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로부터 벗어남을 말하고 있는 듯하다.
비판이라는 용어는 다분히 ‘정치적’인 내포(connotation)를 가진 용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