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효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04:54
본문
Download : 신재효.hwp
그래서 가람 이병기 같은 학자는 신재효가 이룩한 판소리의 업적을 국문학 사상의
「기적인 사업」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skip)
신재효
신재효신재효 , 신재효감상서평레포트 ,
신재효
설명
레포트/감상서평
,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신재효






Download : 신재효.hwp( 50 )
다.
. 신재효의 일반적인 introduce(개요)
1.1 신재효
1.2 신재효 선생에 대하여
1.3 신재효 1812(순조 12)~1884(고종 21)
2. 신재효의 활동
2.1 신재효와 판소리
2.2 판소리 후원자 및 지도자로서의 신재효
2.3 단 잡가 창작가로서의 신재효
2.4 사설 개작자 또는 집성자 혹은 창작자로서의 신재효
3. 신재효 생가
3.1 신재효 고택
3.2 신재효 선생의 생가
4. 신재효 활동의 현대적 의의
1. 신재효의 일반적인 introduce(개요)
1.1 신재효
전북 고창에는 우리나라 판소리의 비조인 동리 신재효(1812~1884)가 살던 고택이 있다 이 집은 동리 신재효가 38세 때 지어 말년까지 이 집에 살면서 노래청을 두고 수많은 제자를 불러 명창들을 길러낸 집이라 한다.
광대소리를 위해 만장의 기염과 소담한 자료(資料)와 이론(理論)적 유산을 남겨놓은 이가 바로 신재효이며 이제 그의 생전의 업적으로 인하여 판소리의 성자가 되었고 국문학사는 그를 위하여 한페이지를 양보하고 판소리를 하나의 문학 형식으로 정립해 놓았다. 또한 신재효가 춘향가, 심청가, 박타령, 가루지기타령, 토끼타령, 적벽가 등 판소리 여섯 마당의 가사와 이론(理論)을 요약해 놓았던 곳도 바로 이 집이라 한다. 부친은 관약방을 경영하여 재산을 모았고, 신재효는 그 재산으로 가세를 번창시키고 관아와 이방의 우두머리인 호장이 되고 그 뒤에 통정대부와 가선대부 품계를 받기도 했다 한다. 이 여섯 마당의 판소리 중에 가루지기타령(변강쇠타령)은 너무 음탕하다고 하여 부르기를 꺼려온 바람에 그 가락이 잊혀지고 오늘날 나머지 다섯 마당만이 전수되어 오고 있다 신재효는 본래 소리꾼이 아닌 부유층의 중인이었다.
또한 광대들 뒤에서 그 사설을 요약하여 준 숨은 공로자로 해박한 지식과 절묘한 기법으로 판소리 사설(타령)의 창작과 집대성으로 필생의 대업을 이루었다.
타락한 조선조 양반소설이 기울어져 갈 즈음에 혜성과 같이 나타난 서민 판소리 문학의 이론(理論)가요, 연출가이며, 광대의 지휘자이기도 하다.
그는 1812년(순조12년) 11월6일 고창현 천남면 서문리(현 고창읍 읍내리)에서 신광흡의 1남3녀의 외아들로 태어났으며 민족문학사의 찬연한 업적의 가치성은 당시 숭상하던 충효열이나 한시문 외에는 몹시 천대하고 멸시하던 광대와 우리말과 글을 홀로 사랑하고 키우고자 일생의 정력을 오로지 여기에 바쳤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