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8 07:54
본문
Download : 황 사.hwp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흙이 비처럼 내리다` 라는 동작으로 묘사되었지만 조선시대에는 `흙비`라는 명사형으로 황사 현상을 표현하였다.
歷史시대 이전에도 황사현상이 있었다는 것을 뢰스지대의 분포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현재 전세계 지표면의 약 10%정도가 뢰스(바람에 의해 침적한…(drop)
설명
황사에 대한 글입니다. 또한 유경로(1994)와 세종사업기념회(1999)의 서운관지(書雲觀志)에 의하면, `土雨는 모시모경에 사방이 어둡고 혼몽하고 티끌이 내리는 것 같다고 기록한다`는 관측 방법까지 상세하게 정이되어 있다 고려시대 1xxx년부터 1372년까지 무려 43건이나 `우토(雨土)`가 등장하지만, `황사(黃砂)`라는 표현은 나타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황사현상을 과학적이고 정확하고 자세하게 묘사하였으며, 먼지 현상으로서 황사현상 42건, 황사와 비 또는 눈까지 섞여 내리는 instance(사례) 8건, 안개와 우박과 관련되어 나타난 황사 현상 7건을 발췌하였다.황사-1 , 황 사자연과학레포트 ,
Download : 황 사.hwp( 20 )
순서
1. 서론 - 황사의 정이
2. 황사의 동향
2.1. 歷史에 기록된 황사
2.2. 황사의 주 발생지역과 황사 발생의 시간적 배경
3. 황사의 발생Cause
3.1. 기후적·지리적 요인
3.2. 사막화로 인한 황사 발생지역의 확대
4. 황사의 이동 및 침강
5. 황사의 단점과 장점(長點)
5.1. 단점
5.1.1. 중국(中國) 본토의 사막화
5.1.2. 인체에 미치는 effect
5.1.3 정밀산업의 피해
5.2. 장점(長點)
5.2.1. 지구 온난화 방지 (냉각화)
5.2.2. 토양과 호수의 산성화 방지와 생태계에 미치는 긍정적 effect
6.6. 황사에 대한 대책
6.1. 생활 속에서의 대책
6.2. 政府차원에서의 대책
7. 결론
서지사항
2.1. 歷史에 기록된 황사
황사에 관한 기록들은 비교적 많은 양이 남아있는데, 중국(中國)의 경우 서기 300년 이후부터 황사관측기록이 남아있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황사관련 기록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먼저 삼국시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삼국사기에 기록된 황사 관련 현상의 기록으로 최초의 것은 174년(신라 아달라왕 21년) 음력 1월 `우토(雨土)`라는 기록이다.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황사현상은 `토우(土雨)`라는 표현이 주로 사용되었다.
레포트/자연과학
황 사
,자연과학,레포트
황사-1






다.
다음으로 고려시대의 기록을 살펴보면 고려사에 황사현상의 정이가 등장하는데, `비가 옷을 적시지 않고 흙(土)이 있으니 이를 `매()` 또는 `토우(土雨)`라 부른다. 서기 850년까지 신라, 백제, 고구려에서 `우토(雨土)`라는 용어가 사용되었고, 때로는 황사현상이 관측된 기간이 하루 또는 5일 동안이었음을 기록하였다. 특히, 조선시대에는 수도(首都)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관측하여 보고된 기록도 발견되었다.황사에 대한 글입니다. `흙이 비처럼 내린다` 는 뜻으로 하늘에서 흙먼지가 낙하하는 현상을 묘사한 것이다.`는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