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식의 삼국사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0 10:37본문
Download : 김부식의 삼국사기.hwp
50권 10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1145년에 간행되었는데, 편찬에 종사한 사람은 책임편찬자인 김부식을 비롯하여 최산보(崔山甫), 이온문(李溫文), 허홍재(許洪材), 서안정(徐安貞), 박동계(朴東桂), 이황중(李黃中), 최우보(崔祐甫), 김영온(金永溫), 정습명(鄭襲明), 김충효(金忠孝) 등 11명이었다.
설명


김부식의 삼국사기
레포트/법학행정
Download : 김부식의 삼국사기.hwp( 89 )
김부식의삼국사기
,법학행정,레포트
삼국사기는 고려 중기 인종(仁宗)때 왕명에 따라 김부식이 신라ㆍ고구려ㆍ백제 3국의 정치적 흥망ㆍ변천을 주로 하여 찬진(撰進)한 현존 우리 나라 최고의 역사(歷史)서이다.김부식의삼국사기 , 김부식의 삼국사기법학행정레포트 ,
다.
삼국사기는 고려 중기 인종(仁宗)때 왕명에 따라 김부식이 신라ㆍ고구려ㆍ백제 3국의 정치적 흥망ㆍ변천을 주로 하여 찬진(撰進)한 현존 우리 나라 최고의 역사서이다.
삼국사기의 체제는 中國의 정사(正史)와 기전체(紀傳體)의 시초인 사마천의 <<사기>>를 따르고 있따 내용은 신라본기(新羅本紀) 12권, 고구려본기(高句麗本紀) 10권, 백제본기(百濟本紀) 6권, 연표(年表) 3권, 잡지(雜志) 9권, 열전(列傳) 10권의 순으로 엮어져 모두 50권이다.
본기(本紀)는 3국을 국가별로 구분하여 모두 동일한 입장에 놓고 기술하였으나, 신라건국을 최초로 생각하여 이를 첫머리에 세웠음은 역사(歷史)적인 사실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닌것이다 . 연표(年表)는 난을 넷으로 갈라 中國 연대를 위에 표시하고 밑으로 신라ㆍ고구려ㆍ백제의 순으로 나열하였으나, 역사(歷史)적 사실의 기…(skip)
순서
삼국사기는 고려 중기 인종(仁宗)때 왕명에 따라 김부식이 신라ㆍ고구려ㆍ백제 3국의 정치적 흥망ㆍ변천을 주로 하여 찬진(撰進)한 현존 우리 나라 최고의 역사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