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고용정책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1 10:01
본문
Download : 장애인 고용정책_2081023.hwp
한편, 한사람 이상 피고용인을 두고 기업이나 농장, 상점 등을 …(skip)






장애인고용정책1[1]
레포트/인문사회
다.
장애인 취업자는 비임금 근로자 중에서도 피고용인 없이 자기 혼자 기업이나 농장, 상점 등을 경영하는 자영업자가 39.6%를 차지하고 있어서 비장애인 자영업자 비율인 20.5%에 비해 거의 2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청각장애인의 경우 과반수인 51.3%가 농업에, 언어장애인의 45.1%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고 있으며, 특히 정신지체인의 경우 46.3%가 농업에, 그리고 41.3%가 단순노무직에 종사하고 있어서 청각, 언어, 정신지체인의 경우 한 두개의 직업에 집중적으로 취업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지체장애인과 시각장애인 중에서 전문·사무직의 비율이 각각 11.5%, 12.8%로 다른 장애유형에 비해서 많이 그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을 미루어 볼 때, 장애인 취업자가 종사하고 있는 일의 종류가 주로 농업, 단순노무직 등 사회적 지위가 낮은 업종인 반면, 비장애인의 경우에는 전문·사무직 등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은 업종에 주로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취업장애인의 장애유형별 직업분포를 살펴보면, 지체장애인의 경우 그들의 약1/4인 24.9%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서비스직에는 21.9%, 단순노무직에는 21.8%, 기능직에는 19.9%가 취업하고 있어서 지체장애인이 종사하고 있는 직종은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는 경향을 보인다.장애인고용정책1[1] , 장애인 고용정책인문사회레포트 ,
장애인 고용정책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설명
Download : 장애인 고용정책_2081023.hwp( 17 )
I. 서론
II. 정의(定義)
1. 장애인복지의 정의(定義)
2. 장애인고용정책의 정의(定義)
III. 현재상황과 問題點
1. 장애인의 경제활동 현재상황
2. 직업별 분포
3. 고용 형태별 분포
4. 장애인의 소득
5. 장애인의무고용 실태(實態)
6. 정책의 홍보 및 마케팅 부족
7. 사업주의 부정적 시각
IV. 해결plan
V. 結論
*Reference List 및 사이트
장애인 취업자의 직업별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취업장애인의 31.4%가 농업에 종사하고 있어 가장 다수를 점하고 있으며 다음이 단순노무직으로 23.0%, 기계·장치 조작 등의 일을 수행하는 기능직이 18.2%, 서비스직이 17.9%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비장애인의 경우 전문·사무직 종사자가 전체의 27.8%를 차지하여 다수를 점하고 있고 다음이 기능직으로 26.6%, 서비스직 21.6% 등의 순이며, 장애인 취업자의 다수를 점하는 농업직에는 12.8%만이, 단순노무직에는 11.2%만이 종사하고 있었다.
사회의 한 일원인(原因) 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직업을 갖는의미보다 여러가지 재활을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는것인데 이런 장애인의 고용정책과 상황 및 drawback(걸점),해결方案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
사회의 한 일원인 장애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함으로써 직업을 갖는의미보다 여러가지 재활을 통해 사회통합을 이루는것인데 이런 장애인의 고용정책과 현황 및 문제점,해결방안에 대해 작성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