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 형태 alteration(변화) 와 분포 environment(환경)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2-15 08:14
본문
Download : 문법 형태 변화와 분포 환경.hwp
,인문사회,레포트
문법 형태 alteration(변화) 와 분포 environment(환경)
순서
레포트/인문사회
문법 형태 변화와 분포 환경에 대한 내용 입니다. 그런가 하면 어떤 형태와 그것에 대응하는 의미가 함께 바뀌어지는 경우도 있따 또 어떤 경우에는 한 형태를 이루는 음운의 일부가 변함에 따라 그 형태의 모습이 바뀌어지면서 동시에 의미가 달라지기도 하고 문법적 기능이 바뀌어지기도 한다.
문법 형태 alteration(변화) 와 분포 environment(환경) 에 대한 내용 입니다.
또 어떤 문법 형태는 서로 인접해 있는 다른 문법 형태와 분리된 형태로 결합하기도 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인접해 있는 앞뒤의 문법 형태가 분리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그 두 문법 형태가 하나의 형태로 융합되어 실현되기도 한다. 그리고 ‘…(투비컨티뉴드 )






다.
종결어미 ‘-습니다’와 ‘-습니까’의 형태를 이루는 어미구조체에서, ‘-습-’은 본디 객체 높임어미이던 것이 근대 국어 이후부터 청자 높임어미로 기능하는 청자 높임소이고, ‘-느-’는 [과거지각]의 ‘-더-’와 계열관계를 이루는 [현재지각]의 의미자질을 갖는 요소이며, ‘-이-’는 15세기 국어의 ‘--’에 소급될 수 있는 청자 높임소이다.문법형태변화와분포환 , 문법 형태 변화와 분포 환경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문법 형태 변화와 분포 환경.hwp( 93 )
설명
문법형태alteration(변화) 와분포환
1. 머리말
2. 문법 變化와 음운 變化
3. 선어말어미 ‘-니-’와 종결어미 ‘-네’
4. 맺음말
1. 머리말
언어는 고정 불변의 존재가 아니기 때문에 시간이 흐름에 따라 그 모습이 변하는 것을 볼 수 있따 그것의 일정한 형태에 대응하는 의미가 바뀌어지기도 하고 거꾸로 언어의 일정한 의미에 대응하는 형태가 바뀌어지기도 한다.
ㄴ. 비가 많이 왔습니까?
문장 (1)의 종결어미 ‘-습니다’와 ‘-습니까’의 형태를 살펴 보기로 하자. 흔히 서술어미 ‘-습니다’와 의문어미 ‘-습니까’ 를 하나의 문법적 단위 형태로 分析하지만, 이 형태를 좀더 정밀하게 observe해 보면 여러 개의 문법 요소가 하나의 어미구조체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따 종결어미 ‘-습니다’와 ‘-습니까’의 형태는 4개의 작은 구성 요소에 의해 하나의 어미구조체를 이루고 있따 이들 문법 형태를 이루고 있는 어미구조체를 分析해 내기 위해 재分析(reanalysis)의 방법을 적용해 보면, ‘-습니다’의 형태는 ‘습+느+이+다’로 分析되고 ‘-습니까’는 ‘습+느+이+까’와 같은 어미구조체로 分析된다된다.
(1) ㄱ. 비가 많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