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의 심리학 서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3 19:22
본문
Download : 통일의 심리학 서설.hwp
김기석(1979)은 서구인들과 대비되는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特性) 개념(槪念)으로서, (1) 전인적(全人的) 개념(槪念), (2) 법 위의 인간, (3) 비언어적인...
설명






,인문사회,레포트
통일의 심리학 서설
김기석(1979)은 서구인들과 대비되는 한국인의 심리적 特性 concept(개념)으로서, (1) 전인적(全人的) concept(개념), (2) 법 위의 인간, (3) 비언어적인 이심전심(以心傳心), (4) 내향성 (5) 정(情) 지향의 전통, (6) 심리적 대결보다는 위무(conciliation), (7) 그리고 analysis적사고보다는 통합적사고의 特性을 열거하고 있따 이 가운데서도, 특히 초법적 인간관이나 인내천(人乃天)의 사상, 조상숭배, 정(정서) 지향적 의식구조 등은 남북한 주민들의 심리적 동질성의 공통기반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어떻게 생각하고, 어떻게 느끼며, 어떻게 행동하는가?’하는 면에서의 이 이질화 현상이 지난 반세기 이상 지속되…(To be continued )
레포트/인문사회
순서
Download : 통일의 심리학 서설.hwp( 30 )
김기석(1979)은 서구인들과 대비되는 한국인의 심리적 특성 개념으로서, (1) 전인적(全人的) 개념, (2) 법 위의 인간, (3) 비언어적인... , 통일의 심리학 서설인문사회레포트 ,
다. 특히, 인간모습의 주요 차원이라고 할 인지 양식(개인주의-집단주의), 정서 구조(조건성-절대성), 행동 경향(시장지향-이념지향) 등에서 현격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2) 남북한의 심리적 이질성
남북한은 단일 민족, 단일 언어로 반도의 같은 생활공간에서 2천년 이상 같은 文化를 형성해왔기 때문에 보기 드문 민족적, 文化적 동질성을 유지해오고 있따 그러나, 분단 이후 체제 종속적 사회환경과 생활양식의 차이로 인해 남북한 주민의 심리적 이질화는 뚜렸하게 대비되는 내용으로 고착되어 있을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