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2 21:53
본문
Download :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hwp
『삼국유사』 제5권 「효선」 제9에는 「진정사효선쌍미」, 「대성효이세부모 신문왕대」, 「향득사지할고공친 경덕왕대」, 「손순매아 흥덕왕대」, 「빈녀양모」 등 총 다섯 편이 실려있는데, 「진정사효선쌍미」, 「대성효이세부모 신문대」, 「빈녀양모」는 불교적 효행고사이고 나머지 둘은 china 전통적 효행고사이다. 이로서 고려시대에 비록 유ㆍ불의 효에 대한 관점이 다르기는 했지만 상존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따 「손순…(skip)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






한국효자고사집에관한연구
,인문사회,레포트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
설명
순서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한국효자고사집에관한연구 ,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인문사회레포트 ,
다. 그런데 효의 실천에 있어서 윤리ㆍ사상 측면만 강조하지 않고 문학ㆍ그림의 예술적 형상미를 통해 감성에 호소하기도 하였다. 『논어ㆍ학이』편에 이르기를 “효와 제는 인을 실천하는 근본이다” (효제야자 기위인지본여) 라고 하는 효가 동양의 무상지고한 윤리였음은 재삼 논할 필요조차 없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공백을 메우고 또한 작품들을 함께 조감함으로써 한국 효행담의 흐름과 특징을 알아내고자 한다.
Ⅰ. 『삼국유사』
비록 효행담이 『수이전』과 『삼국사기』 등에 몇 편 실려있기는 하지만 한국 효자고사집의 가장 이른 선행적인 형태로서는 처음으로 효행담을 「효선」이라는 항목으로 독립시킨 『삼국유사』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들 작품들은 china 효행담이나 불교의 influence을 많이 받았으나 지금까지 연구들은 이러한 배경은 무시된 채 논의 되어왔다.
Download : 한국 효자고사집에 관한 연구.hwp( 57 )
레포트/인문사회
서 론
Ⅰ. 『삼국유사』
Ⅱ. 『이십사효도』와 『효행록』Ⅲ. 『삼강행실도』
Ⅳ. 『어우야담』
결 론
서 론
china과 한국은 오랜 유교국가로서 고래로 다양한 형태의 효자고사집이 유전되어왔다. 효를 주제로 하여 일정한 체재로 짜여진 민간문학적 전승을 이루어내었던 것이다. 한국의 경우 고려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삼국유사』, 『이십사효도』, 『효행록』, 『삼강행실도』, 『속삼강행실도』, 『어우야담』 등이 지어졌는데, 효에 관련된 이야기나 회화를 수합한 것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