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개념의 변화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11:24
본문
Download : 장애개념의 변화.hwp
그러나 만성질병 및 후유증의 증가에 따라 질병 자체뿐만 아니라 질병의 결과로 발생하는 현상에 주목할 수밖에 없었으며, 신체적 영역(질병)을 벗어날 개인적 영역, 사회적 영역에서의 불리함에 대한 명명 및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ICF는 진단과 기능(function)이 동시에 포함된 정보를 얻음으로써 개
<장애concept(개념)의 alteration(변화) > A+ 해결해야할문제물
장애개념의 변화에 대한 보고서 reference(자료)입니다. 이런 문제제기는 재활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들의 주장이 수용되어 1976년 ICD-9에서는 질병과 불리(handicap)를 구분하여 질병의 결과 발생하는 현상을 사회적 불리라고 하였다.
순서
2001년에 WHO에서 확정된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e, disability and Health)에서는 ICIDH-2에서 제시되고 있는 내용을 계승하면서 동시에 분류체계와 언어사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環境(환경)지향적인 맥락에서 수정하고자 노력하였고 장애에 대한 개별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을 통합하였다.
자료제목 : 장애개념의 변화 장애개념의 변화에 대한 레포트 자료입니다.
reference(자료)タイトル(제목) : 장애개념의 변화
장애concept(개념)의 alteration(변화)
Download : 장애개념의 변화.hwp( 27 )
<장애개념의 변화> 작성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장애개념의 변화> 작성에 도움이 되시기를 바랍니다.
다.
장애개념의 변화
장애concept(개념)의 alteration(변화) 에 대해 간략하게 요약 및 정리(arrangement)한 data(자료).
data(자료)명 : 장애concept(개념)의 alteration(변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 이하의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장애concept(개념)의 alteration(변화) 는 세계보건기구(WHO)가 1980년 이후 발표한 장애분류체계의 변천과정에 잘 내포되어 있는데, WHO의 장애concept(개념)은 초기에는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의 의료적 분류에 따라 장애를 분류하였고, 이에 따라 장애에 대한 대처도 의료적 치료가 주류를 이루는데 장애는 질병이며 질병의 치료를 통해 장애는 극복될 수 있는 것이었다.
環境(환경)의 alteration(변화) 에 밀접한 영향을 받는 사회복지실천 현장의 alteration(변화) 하는 사회 環境(환경)과 함께 장애에 대한 concept(개념)과 정의도 기존의 개별 및 의료모델에서 사회 및 環境(환경)중심 모델로 빠르게 alteration(변화) 하고 있으며 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준거가 되는 서비스 패러다임의 alteration(변화) 를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패러다임의 alteration(변화) 요구는 지역싸회 서비스 모델, 생애주기, 스스로의 선택과 결정, 인권 및 권리, 장애인의 자립생활 등의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장애개념의 변화
이후 1997년 개정판인 ICIDH-2가 발표되었는데, 이는 ICIDH를 보완한 것으로 장애의 3차원 축으로 손상 ․ 활동 ․ 참여를 설명하면서 손상과 활동은 개별적 모델로, 상황요인과 참여는 사회적 모델에서 말하는 環境(환경)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concept(개념)은 ICD 분류에 통합되지 못하는 보조적인 concept(개념)으로 사용되는 수준이었다.
설명





1980년에는 ICIDH(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의 장애분류 모델을 발표하였는데 이 분류에서는 손상을 의미하는 impairment, 장애를 의미하는 disability, 불리를 의미하는 handicap이라는 용어를 사용함으로써 그동안의 무분별하게 사용되던 장애관련 용어들을 정리(arrangement)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