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1 01:40
본문
Download : 식물생리학 - water potent.hwp
용액이 멈춘 농도는 0.25m과 0.30m였고 이것의 삼투포텐셜 값은 -0.619Mpa와 -0.743Mpa였다.
설명





레포트 > 의학계열
다. 30분 정도 지난 뒤, 감자조각들을 test(실험) 관에서 빼내고 Janus green B가 섞인 용액을 각각 dye가 섞인 용액과 같은 sucrose 농도를 가진 용액에 pipet으로 중간 지점에 조심스럽게 넣어준다. 따라서 두 경우를 비교해본 결과 constant volume method가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것(농도)을 알 수 있었으나 constant volume method의 경우 최종 무게에서 물기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오차가 생길 수 밖에 없으므로 와 같이 무게측정(measurement)에서 임의적으로 더해졌을 거라고 예상되는 무게(0.05g)를 각각 빼준 경우 그래프가 왼쪽으로 이동해 X절편값이 0.285m로 chardakov method의 측정(measurement)값과 비슷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생리학, water potential, constant volume method , chardakov method,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
Download : 식물생리학 - water potent.hwp( 85 )
식물생리학 - water potential 관련, constant volume method 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감자 절편의 수분 포텐셜을 구한 實驗(실험)
순서
삼투현상이란 물이 확산되는 과정이 하나로 반투막(선택적 투과막)으로 막혀 있는 두 공간 사이에서 생기는 것이다. 먼저 감자조직의 부피를 이용한 constant volume method는 5번 cork borer로 만든 cylinder 형태의 감자조각을 2cm로 썰어 30개 준비해 이것을 3개씩 각각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에 넣어 약 2시간 정도 삼투평형을 이루게 하고 삼투평형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감자조각의 무게를 측정(測定) 하였다.
이번 실험에서는 감자 조직에서 water potential을 구하기 위해 constant volume method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값을 구해보고 비교해보았다. 여기서 반투막은 물과 같은 작은 분자들은 반투막 사이의 공간을 통해 이동할 수 있지만 반투막의 공간 보다 큰 용질들은 이동을 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하나의 test(실험) 관에는 감자조각들을 3개씩 넣고 나머지 test(실험) 관에는 Janus green B라는 dye를 넣는다.
Introduction
첫 번째 test(실험) 과 마찬가지로 감자 조각 30개와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을 각각 준비해 이번에는 두개의 test(실험) 관에 각각 담는다.
이번 實驗(실험)에서는 감자 조직에서 water potential을 구하기 위해 constant volume method와 chardakov method를 이용해 값을 구해보고 비교해보았다. 그 후, 방출된 용액의 이동경향을 잘 觀察하여 어느 농도에서 용액이 멈췄는지를 확인한다. 먼저 감자조직의 부피를 이용한 constant volume method는 5번 cork borer로 만든 cylinder 형태의 감자조각을 2cm로 썰어 30개 준비해 이것을 3개씩 각각 0.05m, 0.10m, 0.15m, 0.50m, 0.25m, 0.30m, 0.35m, 0.40m, 0.45m, 0.50m sucrose용액에 넣어 약 2시간 정도 삼투평형을 이루게 하고 삼투평형이 일어나기 전과 후의 감자조각의 무게를 측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