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사씨남정기>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한 비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30 22:37본문
Download : 등록본.hwp
`유연수-엄숭`의 대립은 외형상 충신과 간신, 선인과 악인의 대립으로 그려지고 있지만 실제는 조선후기 파당적 정쟁의 한 형상인만큼, 선악을 미리 규정하고 있는 작자의 시각에 끌려감이 없이 거기 담긴 현실적 의미를 보다 냉정하게 객관적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따
3. <사씨남정기>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한 비교
Ⅱ. 본 론
(2) 축첩제에 대한 인식
다.
사씨남정기 남북한문학사 사씨남정기 가치평가, 김만중
Download : 등록본.hwp( 62 )
순서
(1) 작품을 보는 시각의 평가
(3) 작중 인물에 대한 평가
Ⅲ. 결 론
[국어국문학] <사씨남정기>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에 대한 비교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방송대 2007. 2학기 레포트(report) data(자료)입니다.
설명
(4) 작품의 사실성에 대한 평가
1) 남한문학사에서의 가치 평가
...............남한 학계는 작품 속에서 축첩제나 가부장제의 질곡, 가문주의 이념, 욕망과 선악의 문제 등을 주로 읽어내고 있는 반면, 북한 학계는 축첩제나 가부장제의 질곡을 넘어 봉건 유교이념의 모순성, 양반계급의 도덕적 타락상, 봉건 지배층의 부패상 등을 읽어내는 데 치중하고 있따 <사씨남정기>는 `사씨-교씨` 대립축과 `유연수-엄숭` 대립축으로 짜여 있는데, 남한 학계가 전자에 관심을 집중하며 후자를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루고 있다면, 북한 학계는 후자에 더 큰 관심을 두고 봉건 지배체제와 양반 관료들의 부정적 측면을 과장하고 있따 `유연수-엄숭` 대립축은 `사씨-교씨` 대립축과 함께 작품의 서사 진행을 이끌어 가는 중심축의 하나이고, 거기에는 당대 정치 현실이 상당히 사실적으로 투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이를 합당하게 주목하지 않는 것은 물론 반성이 필요하지만, `부정인물`의 허구적 형상을 당대 봉건 지배층의 실제 형상으로 일반화하여 반봉건 이념과 연결시키는 실상의 왜곡은 더 큰 문제이다.
1. <사씨남정기>의 내용 요약
1) 창작 동기 및 시기





※ 참고 문헌
Ⅰ. 서 론
2. <사씨남정기>에 대한 남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평가
2) 북한문학사에서의 가치 평가
남북한의 <사씨남정기> 연구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독법의 차이는 연구에 임하는 논자들의 접근 시각 차이에서 비롯된 것인데, 그것은 남북의 체제 및 이념 차이와 직접 연결되어 있따 반봉건적 의미를 읽어내는 데 치중하고 있는 북한 학계의 작품 해석은 `사회주의·공산주의 문학예술 건설`과 `온 사회를 주체의 요구에 맞게 개조`하고 `근로자들의 애국주의 교양`에 이바지하는 문학을 지향하는 사회주의 문예theory(이론) 및 주체적 문예사상에 기초하고 있기 때문일것이다 ...........
방송대 2007. 2학기 레포트 자료입니다.